최근 2년 동안 빚 증가율 두 자리 '고공행진' / YTN

최근 2년 동안 빚 증가율 두 자리 '고공행진' / YTN

정부가 이처럼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은 배경에는 5대에 불과하던 가계부채 증가율이 최근 2년 동안 두 자릿수에 이르는 등 고공행진 한 탓이 있습니다.br br 이미 시작된 금리 인상이 본격화할 경우 빚 때문에 파산하는 가구가 속출하고 소비 부진으로 이어져 성장에 큰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br br 최근 가계부채가 얼마나 가파르게 증가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br br 지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가계부채는 매년 60조 원 안팎에서 증가했습니다.br br 하지만 2015년 100조 원을 넘어 118조 원에 이르더니 지난해에는 139조 원까지 증가합니다.br br 2년 동안 과거 평균의 2배를 넘어 증가한 겁니다.br br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하는 가처분소득과 비교해도 너무 높습니다.br br 2014년까지 160 안팎이었던 부채 비율이 2015년 169에 이르더니 지난해에는 179까지 치솟았습니다.br br 쓸 수 있는 돈을 당장 빚 갚는 데 써도 다 갚을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br br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높은 수준입니다.br br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5.6로 OECD 평균인 70보다 25p 높고 가처분소득으로 비교해도 OECD 평균 135보다 40p나 높습니다.br br 이처럼 최근 가계부채가 급격히 증가한 데에는 저금리와 주택시장이 과열된 탓이 있습니다.br br 상가와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투자가 는 데다 분양시장 수급 개선에 따른 집단대출이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17-10-24

Duration: 01:4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