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A단독]靑 회의실에 다시 걸린 ‘왕의 그림’

[채널A단독]靑 회의실에 다시 걸린 ‘왕의 그림’

해와 달. 왕조시대에 임금과 중전을 가리키는 상징물이었습니다. br br 그래서 권위주의 정부 시절부터 청와대 회의실에서 대통령의 뒷자리에는 해와 달을 담은 그림이 걸렸습니다. br br 그러다 잠시 사라졌던 이 그림,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 다시 등장했습니다. br br 임수정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br br [리포트]br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가 열리는 청와대 본관 세종실, 문재인 대통령이 한쪽에 있던 커튼을 들춰 봅니다. br br 그 뒤 국무회의장에는 일월도, 혹은 일월곤륜도라고 불리는 그림이 내걸립니다. br br 노태우 정부 당시 구입해 국무회의장에 내걸렸던 그림입니다. br br 일월도 속 해와 달은 왕과 왕비를 상징해 조선 시대 임금이 앉는 용상 뒤에 놓이기도 했습니다. br br 일월도가 민주주의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김영삼, 김대중 정부 때는 커튼으로 가렸습니다. br br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1년 7월 공모를 통해 통일의 의미를 담은 '일자곡선-합수'로 그림을 교체했습니다. br br [박영율 '일자곡선-합수' 작가] br "너무 제왕적인 느낌이 든다고 그래서 교체를 하자고 제안이 나왔나봐요.(당시 비서실에서)소나무 그림이 좋겠다고 해서" br br 대통령과 장관들이 주요 정책을 심의하는 국무회의장. br br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는 그림 바로 앞에서 회의를 주재해 그림의 상징적 의미를 강조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부터는 가운데로 자리를 옮겨 뒷 배경에 정부 목표를 직접 내걸어 국정 홍보에 활용했습니다. br br 미술계 인사들은 일월도가 민화로서 가치도 있지만 제왕을 상징하기도 하는 만큼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문재인 정부와는 맞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청와대 관계자들은 일월도 그림이 내걸리게 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채널 A 뉴스 임수정입니다. br br 임수정 기자 sue@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7

Uploaded: 2016-11-01

Duration: 01:5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