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황제’ 3연임 초석 놓다…시진핑 1인 지배 체제

‘시 황제’ 3연임 초석 놓다…시진핑 1인 지배 체제

지난 20년간 중국은 집단통치의 나라였습니다. br br 1인자는 전면에 나서는 역할을 맡을 뿐 나머지 7명 안팎의 공산당 상무위원들과 공동으로 통치해 왔습니다. br br 하지만 시진핑 집권 2기 5년을 시작하는 지금 모든 관행이 깨질 것 같습니다. br br 정동연 특파원입니다. br br [리포트]br 새로 선출된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들. br br 입장하는 순서가 바로 권력서열입니다. br br [시진핑 중국 주석] br "리커창 동지, 리잔수 동지, 왕양 동지…." br br 시진핑의 후계자로 거론됐던 후춘화 광둥성 서기와 천민얼 충칭시 서기는 경쟁에서 밀려 7인 상무위원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br br 후진타오 전 주석이 시 주석의 후계자로 지목했던 인물이 모두 상무위원이 되지 못하면서 '격대지정' 원칙도 깨졌습니다. br br 시 주석 집권 2기가 끝나는 5년 후 권력 구도가 안개 속으로 들어가면서 1인 지배체제가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br br 앞서 시 주석은 24일 폐막된 19차 당대회에서 공산당 헌법에 자신의 실명이 붙은 사상을 명기했습니다. br br [시진핑 중국 주석] br "(이번 당대회 이후)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는 이제 신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br br 덩샤오핑을 넘어 스스로 마오쩌뚱의 반열에 오르면서 3연임을 노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br br 시 주석을 보좌할 상무위원들은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당·정·군 요직에 앉아 시진핑 1인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정동연입니다.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16-11-02

Duration: 01:4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