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모기 잡는 '항공살포'...태아 행동장애 유발 논란 / YTN (Yes! Top News)

지카 모기 잡는 '항공살포'...태아 행동장애 유발 논란 / YTN (Yes! Top News)

[앵커]br 지카 바이러스가 미국에서도 확산하면서, 이를 퇴치하는 방법을 놓고 논란이 뜨겁습니다.br br 매개체인 모기를 죽이기 위해 비행기에서 살충제를 뿌리는 '항공 살포'를 놓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습니다.br br LA 김기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br br [기자]br 태아의 뇌 발달을 멈추게 해 '소두증'이라는 장애를 일으키는 지카 바이러스.br br 감염의 주범 모기를 박멸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단연 살충제 항공 살포입니다.br br 그런데 모기를 잡기 위해 뿌리는 살충제가 오히려 태아의 행동장애를 일으킨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딜레마에 빠졌습니다.br br [배리 라이언 에모리대 공중보건 교수 : 살충제 성분이 태아의 특정 신경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결과가 될 수도 있습니다.]br br 이렇다 보니 EU는 살충제의 불특정지역 살포를 법으로 금지했고, 심지어 지카가 창궐했던 푸에르토리코에서마저 살충제 항공 살포를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습니다.br br 더 나아가 항공방제 결정을 한 미국 질병관리본부 CDC를 상대로 소송까지 냈습니다.br br 하지만 CDC의 생각은 크게 다릅니다.br br 축구장 크기 면적에 고작 살충제 두 숟가락 정도로 농도가 약해, 모기는 죽지만 사람에겐 해가 거의 없다는 주장입니다.br br 또 살충제로 태아 행동장애가 나온 지역은 대부분 자체적으로 살충제를 많이 쓰는 농촌 지역으로 항공 살포 때문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br br 살충제 폐해를 연구한 일부 학자들도 살충제의 위험보다는 지카의 위험에 더 무게를 두는 분위기입니다.br br [배리 라이언 공중보건 교수 : 지카 바이러스는 정말 위험합니다. 감염된 아이들은 이 세상을 제대로 살 수 없어요. 결코 회복 안 됩니다.]br br 지카 확산의 주범 모기를 보고만 있을 것이냐, 아니면 또 다른 위험 요소의 논란 속에서도 그냥 뿌릴 것이냐, 미국 보건 당국이 고민에 빠졌습니다.br br LA에서 YTN 김기봉[kgb@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17-11-15

Duration: 01:5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