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 사용 후 핵연료 운반 사고 보험 '고작 2천만 원' / YTN

[중점] 사용 후 핵연료 운반 사고 보험 '고작 2천만 원' / YTN

[앵커]br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공론화 과정에서 사용 후 핵연료 처리도 중요한 사안으로 떠올랐는데요.br br 위험한 핵폐기물인 이 사용 후 핵연료를 운반해야 하는 일도 꽤 많습니다.br br 그런데 운반하다 사고가 나면 보험금이 최대 2천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r br 박소정 기자가 중점 취재했습니다.br br [기자]br 원자력 발전소에서 다 쓰고 난 핵연료봉, 이른바 '사용 후 핵연료'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입니다.br br 핵연료봉 다발은 현재 국내에만 45만 개!br br 대부분 각 원전의 저장 수조에 보관해뒀는데, 일부는 연구를 위해 대전 원자력연구원으로 옮겼습니다.br br [안상복 한국원자력연구원 조사후시험평가부장 : 1987년부터 총 21회 걸쳐서 1,699봉을 연구원으로 운반했고 현재 연구원 내에 보관하고 있습니다.]br br 핵연료봉은 위험성이 커 이송할 때는 방사능을 차단하기 위해 납으로 된 26톤 이상의 전용 운반 용기에 담습니다.br br 그런데 운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 피해를 물어주는 보험 한도가 2천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br br 원자력손해배상 책임보험 증권을 확인한 결과, 원자력 사고에 대한 보험은 원전 부지 기준 최대 4천8백억 원입니다.br br 반면 핵연료 운송 위험 담보는 특약으로 돼 있고, 운송 한 건에 2천만 원까지만 보장한다는 겁니다.br br 일반 자동차 사고 보험의 보장금액이 평균 2~3억에 이르는 것과 비교해도 황당한 수준입니다.br br 만에 하나 사고가 나 반경 수 km가 오염되면 피해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합니다.br br 담보를 초과하는 손해는 원자력손해배상법에 원자력 사업자가 책임진다고 돼 있는데, 이 사업자가 누군지도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br br 운반 사고에 대한 대책이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br br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 (핵연료 운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언제나 있기 때문에 책임 소재, 준비는 누가 할 것인지에 대한 법률적 제도적 뒷받침이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봅니다.]br br 이런 보험 체제는 지난 1978년 고리 1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한 이후 유지해왔습니다.br br 이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수원은 허점을 인정하면서 앞으로 제도 개선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김상조 한국수력원자력 홍보 차장 : 사용 후 핵연료 운송 중에 사고 났을 때 책임 주체 등 전반적인 제도 개선을 위해서 원자력손...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7

Uploaded: 2017-11-15

Duration: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