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사옵션' 의제 채택시 논의 주제는? / YTN

한미 '군사옵션' 의제 채택시 논의 주제는? / YTN

[앵커]br 오는 8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의제로 대북 군사옵션이 한미 정상회담 의제에 포함돼야 한다고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이 밝혔습니다.br br 군사옵션이 의제로 채택된다면 어떤 내용들이 논의될지를 김주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br br [기자]br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앞서 기자회견을 자청한 맥매스터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북한은 한국과 미국의 우방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위협적인 존재라고 규정했습니다.br br 그런 만큼 트럼프 대통령 역시 북한의 위협을 막아내는 방안에 대해 아시아 지도자들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br br [맥매스터 美 백악관 안보보좌관 :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미국과 동맹국을 방어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우방국은 물론 적성국에도 각인시킬 것입니다.]br br 특히, 북한 위협이 매우 중대한 만큼 군사력은 고려해야만 하는 옵션이며 한미 정상회담 의제가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br br 대북 군사옵션이 정상회담 의제로 채택될 경우, 어떤 방안들이 논의될까?br br 먼저, 지난 9월에 했던 것처럼 북방한계선을 넘어 대북 무력시위를 펼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br br 이 경우 최근 한반도 인근 해역에 집결한 미 항모강습단의 북상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br br 두 번째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해상봉쇄입니다.br br 동해와 서해 등 북한의 항구에서 출항하는 선박을 일정 수역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겁니다.br br 미국은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 2006년 10월 이란 인근 걸프해에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PSI 해상봉쇄 훈련을 실시한 적이 있습니다.br br 세 번째로 북한의 특정 군사시설물을 선제타격하는 방안이 논의될 수 있습니다.br br 이 방안 역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극히 촉박하다는 이른바 레드 라인을 넘기 직전 상황에 도달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br br 분명한 것은 이런 방안 역시 외교적 방안을 통한 대북 압박을 실행한 뒤 고려해 볼 수 있는 사안들입니다.br br 우리 정부는 맥매스터 미 안보보좌관의 발언이 실제 의제로 채택될 경우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br br YTN 김주환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7-11-15

Duration: 02:2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