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연내 배치 사실상 무산...한미 정상회담 '불똥' 우려 / YTN

사드 연내 배치 사실상 무산...한미 정상회담 '불똥' 우려 / YTN

[앵커]br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의 연내 배치가 한미 양국 합의와 달리 사실상 물 건너 갔습니다.br br 양국은 애써 갈등을 피하고 있지만, 이달 말 문재인- 트럼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지 우려는 여전합니다.br br 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입니다.br br [기자]br 지난 2월,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취임 뒤 처음 열린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양국은 사드의 연내 한반도 배치에 합의했습니다.br br [한민구 국방장관 (지난 2월) :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동맹의 단호한 대응 의지를 나타낸 것이며, 북한에게는 가장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가 될 것입니다.]br br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환경영향평가부터 원점으로 돌리면서 사드의 연내 배치는 사실상 무산됐습니다.br br 국내 절차상의 문제라는 우리 정부의 설명에 미국 측은 일단 이해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br br 미 국무부도 최근 논평에서 사드 논란을 거론하는 대신 "문재인 정부와 긴밀한 대북 공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br br 양국 모두 사드 논란이 한미 동맹을 훼손하지 않도록 갈등을 봉합하려는 모습입니다.br br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 (지난 3일) : 미국은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투명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미국이 1조 원에 달하는 전략 자산을 장기간 파행 운용할 수 없는 만큼 이달 말 한미 정상회담에서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br br 이와 관련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담에서 사드 문제가 부정적 사태로 진전되지 않도록 충분히 조율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미중 사이, 고도의 셈법이 요구되는 사드 문제의 파고를 우리 정부가 어떻게 넘을 지 한미정상회담이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br br 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7-11-15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