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노동자들 삶의 활력소, 태권도 / YTN

이주 노동자들 삶의 활력소, 태권도 / YTN

[앵커]br 국제도시 홍콩에는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죠.br br 특히 아시아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많은데요.br br 낯선 타국에서 일하는 이들에게 삶의 활력소가 되어주는 것, 바로 태권도라고 합니다.br br 정유신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br br [기자]br 평일에는 조용하던 태권도장이 주말이면 기합소리로 가득 찹니다.br br 주말에만 문을 여는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br br 태권도를 배우는 여성 대부분 홍콩에서 '가사 도우미'로 일하는 이주 노동자이기 때문입니다.br br 일을 쉬는 주말이면 태권도장을 찾아와 태권도를 배우고, 친구도 사귑니다.br br [유리아니 카티카사리 인도네시아 출신 이주 노동자 : 태권도를 배우기 전에는 늘 일만 하고, 쉬는 날에도 공원에서 친구들과 대화하며 시간을 보내는 게 전부였는데 지금은 할 수 있는 게 생겨서 정말 행복해요.]br br 태권도를 가르치는 사람도 네팔에서 온 라빈 사범.br br 그 역시 돈을 벌기 위해 20여 년 전 홍콩으로 건너와 한국인 사범에게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br br 일하는 틈틈이 태권도를 배워 태권도 공인 5단이 됐습니다.br br 도전의 기쁨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해 2006년부터 홍콩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들에게 태권도를 전파하고 있습니다.br br [라빈 쿠마르 날보 네팔인 사범 : 네팔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인도인, 중국인, 태국인 등 다양한 국적의 수련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훌륭하고 수업 규칙도 잘 따라줍니다.]br br [우종필 태권도 사범 : 한국 사범이 아닌 네팔 사람이 태권도를 보급하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감사하고 태권도인으로서 감사하지요.]br br 6년 전부터 태권도를 배우고 있는 필리핀에서 온 요란다 씨도 평일에는 가사도우미로 일하고 있습니다.br br 쉬는 날마다 태권도를 수련해 얼마 전 홍콩 품새 국가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했습니다.br br [요란다 타부에나 필리핀 이주 노동자·홍콩 품새 국가대표팀 : 태권도를 통해 이룬 것을 수련생들과 나누고, 더 많은 사람들이 태권도를 배울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싶어요.]br br 고국을 떠나 낯선 타국에서 일하는 이들에게 삶의 활력소가 되어준 태권도.br br 건강뿐 아니라 고된 일상에 도전하는 즐거움까지 가져다주고 있습니다.br br YTN 정유신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7-11-15

Duration: 02:2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