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선 전날 주가 상승...선거 후 일주일간은 상승세 / YTN

역대 대선 전날 주가 상승...선거 후 일주일간은 상승세 / YTN

[앵커]br 역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가는 기대가 반영되는 만큼 상승세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선거 후 일주일 정도까지는 기대감이 유지돼 상승 흐름을 보이다 한 달 정도부터는 대선 이슈가 사라지고 평시 흐름을 이어갔습니다.br br 대선과 주가 흐름을 강태욱 기자가 살펴봤습니다.br br [기자]br 첫 직선 대통령이 당선된 1987년 12월 16일.br br 하루 전인 12월 15일 코스피 지수는 472.17로 1.46 올랐습니다.br br 이후 IMF 위기가 있었던 1997년에는 3.52 급등할 정도로 차기 대통령에 대한 기대가 컸습니다.br br 2007년에는 경제 대통령을 표방한 이명박 전 대통령 당선이 거의 확실해 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1 이상 올랐습니다.br br 여섯 차례의 대선 동안 선거를 앞둔 하루 전의 주가는 이렇듯 기대감이 반영돼 모두 올랐습니다.br br [라성채 거래소 주식시장부장 : 대선 전에는 모두 주가가 올랐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대통령, 새로운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선거가 끝난 바로 다음 날에는 대체로 1 미만의 등락을 보이는 보합세로 마감해 이른바 눈치작전이 펼쳐졌습니다.br br 이후 차기 정부의 정책 등이 윤곽을 드러내는 일주일 뒤는 정부 성향에 따라 엇갈렸습니다.br br 보수 세력의 노태우, 김영삼, 이명박 정부는 주가가 각각 7.81, 2.23, 2.43로 오른 반면, 진보세력의 김대중, 노무현 정부는 각각 -16.02, -5.26로 내렸습니다.br br 차기 정부의 인수위가 꾸려지고 정책 등이 정리되는 한 달 뒤부터 주가는 평시 수준을 회복해 대선 이슈가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br br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투자전략부 수석연구원 : 선거 이후에 나타나는 정부 입장, 발표될 수 있는 정책, 이것들에 대한 기대가 주식시장에 녹아들 수 있고요. 현재의 경우는 내수를 키우겠다는 후보들의 공약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내수와 관련한 모멘텀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br br 역대 대통령 재임 동안의 주가는 임기 말 외환위기를 맞은 김영삼 정부 외에는 경제가 성장한 만큼 모두 올랐습니다.br br 특히 노무현 정부 5년 동안 주가지수는 1,600선까지 무려 184 치솟아 주식시장으로만 평가했을 때 가장 큰 실적을 보였습니다.br br YTN 강태욱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1

Uploaded: 2017-11-15

Duration: 02:2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