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카쿠 문제로 보복당한 일본...오히려 전화위복? / YTN (Yes! Top News)

센카쿠 문제로 보복당한 일본...오히려 전화위복? / YTN (Yes! Top News)

[앵커]br 중국이 사드 배치 문제로 한국 관광을 중단시키는 등 보복에 나서면서 5년 전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중일 간의 분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br br 이때도 중국은 일본에 대한 보복을 단행했는데 일본은 이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br br 도쿄에서 황보연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br br [기자]br 일본과 중국이 서로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며 줄곧 분쟁을 벌여 온 센카쿠 열도.br br 2012년 9월을 기점으로 갈등은 한 단계 더 격화됐습니다.br br 후진타오 당시 중국 국가 주석이 자제 요청까지 했지만 일본 정부가 센카쿠 열도에 대한 국유화 조치를 단행했기 때문입니다.br br [이시하라 신타로 당시 도쿄도지사 : 센카쿠열도가 원래 중국 땅이며 국익에 핵심적인 영토라는 중국의 주장은 황당무계할 따름입니다.]br br 전방위적인 중국의 보복은 곧바로 시작됐습니다.br br 중국에서는 연일 반일 시위와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이어졌고 일본 관광 제한 조치가 내려졌습니다.br br 이로 인해 일본 제조업체와 관광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br br 하지만 피해를 입은 것은 일본만이 아니었습니다.br br 중국의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줄었고 중국 내 일본 기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중국 내 고용도 함께 감소한 겁니다.br br 2년 동안 말 그대로 치킨 게임을 벌이던 두 나라는 2014년 9월 화해를 위한 대화 채널을 가동했고 결국 중국의 제재 조치도 유야무야됐습니다.br br 그사이 일본은 유사한 사태가 재발할 것에 대비했습니다.br br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에 설립한 공장을 동남아로 분산시키는 등 제2의 보복에 철저히 준비한 것입니다.br br 또 정치 안보 분야 문제와는 별도로 중국인 관광객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하는 등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전력을 기울였습니다.br br 그 결과 중국이 일본에 보복 조치를 내놓은 2012년 일본을 찾은 중국 관광객은 142만 명 정도였는데 지난해에는 무려 637만 명으로 늘었습니다.br br 무역제재를 잘 참아내고 그사이 대비책을 마련하면서 중국 관광객들까지 대거 끌어들인 일본의 전화위복 사례는 지금의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커 보입니다.br br 도쿄에서 YTN 황보연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7-11-15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