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전에도 ‘방사능 침대’…정부, 책임 떠넘기기

11년 전에도 ‘방사능 침대’…정부, 책임 떠넘기기

ppbr br 침대에서 방사성 물질 라돈이 검출된 것은 모자나이트라는 원료 때문입니다. br br그런데 2007년 다른 업체의 건강침대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brbr그러니까 정부가 위험을 알고도 11년간 방치한 셈입니다. brbr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 brbr[리포트]br대진침대에 사용된 모자나이트 등 자연방사능을 방출하는 광물질이 처음으로 문제된 건 2007년입니다. br br시중에 판매된 건강 침대에서 방사능 유출이 확인된 겁니다. brbr당시 과학기술부 산하였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매일 6시간 이상 해당 제품을 사용하면 연간 방사능 피폭선량이 일반인 허용 기준치인 1밀리시버트보다 최대 9 이상 높게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brbr일상생활 제품의 방사능 검출량을 규제하는 생활방사선법은 2012년 만들어졌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설립된지 1년 뒤였습니다. br br원자력안전위원회와 이미 관련 규제업무를 넘겨준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br br[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 br“그때는 과학기술부..원안위가 없었습니다 당시엔” br br[과기정통부 관계자] br"그런 모든 부분에 관련된 업무를 떼서 그쪽으로 간 거잖아요." br br우리나라에서 특허 받은 음이온 제품은 18만 개지만 원안위가 라돈 방출량을 직접 검사하는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br br[박순장 소비자주권회의 팀장] br"2007년에도 발생했고 2014년에도 1천세대의 라돈아파트 문제가 발생했음에도 이번에도 나왔단 건 정부가 국민의 생명권을 소홀히 한 책임이 있다." br br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 br br박수유 기자 apori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7

Uploaded: 2018-05-17

Duration: 01:4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