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잇단 통학차량 사고...예방책은? / YTN

폭염 속 잇단 통학차량 사고...예방책은? / YTN

기록적인 불볕더위 속에 통학차량에 아이가 갇혀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정부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는데, 사고를 막을 수 방법은 무엇인지 최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 br [기자] br 통학버스 시동을 끄고 차에서 내리자 잠시 뒤 요란한 사이렌 소리가 울립니다. br br 운전자가 버스 맨 뒤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br br 이 통학버스엔 이른바 '슬리핑 차일드 체크' 버튼이 설치됐습니다. br br 이렇게 차 맨 뒤에 있는 버튼을 눌러야만 경보음이 꺼져 혹시 뒷좌석에 누가 남아있지는 않은지 확인할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이 특수학교는 통학버스 갇힘 사고를 막기 위해 지난해 차량 넉 대에 이 버튼을 설치했습니다. br br [유철진 경은학교 주무관 : 벨을 설치하기 전에는 제가 운전석에 앉아서 뒤를 돌아보는 식으로 확인했는데 (벨을 설치하고 나서는) 아이들 안전을 확인하는 면에서 더 좋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br br 사고가 잇따르자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이런 시스템을 도입하고 통학차량에 선팅을 금지하자는 의견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br br 뒤늦게 정부는 아이의 승·하차 여부를 확인하고 통학버스 위치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대책을 강화하더라도 현장에서 지키지 않으면 별 소용이 없습니다. br br 현행법에도 통학버스에 보육교사가 함께 타야 하며 운전자는 모두 내렸는지 확인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br br 또 차량에 남아있는 아이가 없는지 맨 뒷좌석까지 확인하도록 한 어린이집 운영지침도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법을 어겨도 범칙금 12만 원 정도로 처벌이 가볍고 적발도 쉽지 않습니다. br br 결국, 대책 보완과 더불어 이를 지키도록 실효성 있는 제재 수단도 갖춰야 안타까운 인재를 막을 수 있습니다. br br YTN 최아영[cay24@yt.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18-07-20

Duration: 02:0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