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10개월 만의 이산가족 상봉 / YTN

2년 10개월 만의 이산가족 상봉 / YTN

■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br br br 분단 이후 65년간 생이별을 해야 했던 이들은 이제 백발의 노인이 다돼서야 꿈에 그리던 가족을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과 함께 관련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br br 1시간 뒤면 이제 금강산 온정각에 도착한다고 합니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의 전체적인 의미라고 할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br br [인터뷰] br 이번 이산가족 상봉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판문점 선언, 그것을 토대로 해서 만남이 이뤄졌죠. 그렇다면 첫 번째 판문점 선언 이행을 담을 수 있다, 두 번째 로는 8.15 광복 계기에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죠. 그렇다면 이산가족의 만남이 결국 이산가족 문제 해결이 진정한 광복이다. 진정한 광복에 대해서 우리 국민들에게 한번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의미가 있겠죠. 마지막 세 번째로는 9월 중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세 번째 만남. 특히 평양에서 만남이 예정되어 있죠. 이러한 만남에 있어서 성공적인 정상회담 개최, 여기에 대한 분위기 조성. 이런 세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br br br 이번에는 특히 조금 전에도 전해드렸습니다마는 거기서 시간 오래 걸리고 이런 것 없이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합니다. 과거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달라진 게 어떤 게 있을까요? br br [인터뷰] br 어떻게 보면 더 고령화되셨기 때문에 편의를 제공하고 또 실질적으로 가족간의 만남의 시간을 더 갖게 하는 그런 식으로 협조를 잘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예전 같으면 입경 과정에서 고령이신 분들도 내려서 수속을 밟고 다시 차에 타셔야 되는데 그런 부분도 절차를 생략해서 차 안에서 그렇게 수속을 밟을 수 있게 했고 또 둘째 날 같은 경우도 보통 오찬 시간에 함께 공개적인 장소에서 했는데 방에서 따로 오찬을 할 수 있게 이렇게 배려를 하는 등 조금 더 실질적인 시간을 많이 확보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보고 그런 부분은 참 정부가 협조를 잘한 것 같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br br br 그렇죠. 그동안 여러 차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하면서 갖게 되는 노하우, 경험을 통해서 보다 가족들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수십 년간 꿈속에서나 볼 수 있었던 가족을 직접 만나게 된 가족들의 기분이 어떨지 이번 행...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18-08-20

Duration: 26:5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