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으로 전기 생산...인쇄 공정으로 비용↓ / YTN

체온으로 전기 생산...인쇄 공정으로 비용↓ / YTN

와인 냉장고나 자동차 시트쿨러, 정수기 등에 쓰이는 소재가 열전 소재인데요. br br 기존 열전 소재의 단점인 공기 중 취약성을 극복하고, 인쇄 공정으로 쉽고 유연하게 휘어지는 새로운 열전 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br br 이정우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열전 소재는 주변의 열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거나 반대로 전기에너지로 온도를 낮추거나 올릴 수 있습니다. br br 특히, 체온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면 웨어러블 기기의 자가전원으로 쓸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br br 그러나 열전 소재는 제조 공정이 까다롭고 값이 비싼 데다 안정성이 취약하고, 유연하게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br br 국내 연구진이 지구에 아주 풍부한 원소인 인(p)으로 만드는 '흑린'을 활용해 새로운 열전 소재를 개발했습니다. br br [강영훈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연구본부 : 흑린의 골드 나노입자를 코팅하면서 산화 방지를 하게 되고, 골드 입자로 인해서 전기전도도가 많이 향상된 열전소자를 개발하였습니다.] br br 흑린 덩어리를 얇은 층의 판으로 떼어낸 뒤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결합해 안정성을 높이고 전기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겁니다. br br 특히, 용액에 분산된 새로운 소재를 고무기판 내 구멍에 떨어뜨리는 잉크젯 프린팅 공정으로 열전소자를 아주 싼 값에 만들 수 있습니다. br br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소재는 전기전도도가 기존 흑린보다 약 6만 배 높고, 열전 특성도 아주 우수합니다. br br 금 나노입자의 함량을 조절해 열전 특성을 용도에 맞게 제어할 수 있고, 흑린 소재의 안정성 문제 등을 개선해 체온을 이용한 웨어러블 소자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br br [조성윤 한국화학연구원 : 플렉서블 하기 때문에 유연 전자소자 쪽에 응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든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기구의 자가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br br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br br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4

Uploaded: 2018-08-28

Duration: 02: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