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목항 마지막 분향...'잊지 않겠습니다' / YTN

팽목항 마지막 분향...'잊지 않겠습니다' / YTN

세월호 아픔의 상징과도 같았던 진도 팽목항 분향소가 어제(3일) 참사 4년 5개월 만에 철거됐습니다. br br 슬픔과 그리움을 간직한 채 분향소는 사라졌지만, 그날의 진실을 규명해야 할 책임은 또렷이 남아 있습니다. br br 조은지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처음엔 내 아이일까 봐, 시간이 흐른 뒤엔 내 아이였으면, 팽목항에 달려온 부모들은 마음 졸이며 차가운 얼굴을 매만졌습니다. br br 처연한 울음이 가득하던 팽목항에서 참사 4년 5개월 만에 마지막 분향이 끝났습니다. br br 세월호를 인양하면 분향소를 정리하겠다던 약속대로 304명, 순진무구한 표정들이 가족 품으로 돌아갔습니다. br br [정성욱 故 정동수 학생 아버지 : 아이들이 올라왔던 곳이니까 많은 사람 가슴 속에 팽목항이 남아있을 겁니다. 분향소가 없어지더라도 다시 한 번 찾아올 수 있는 공간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br br 이제 추모 공간은 서울 광화문광장과 안산 기억저장소 정도가 전부입니다. br br 경쾌한 걸음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사춘기 아이들. br br [세월호 침몰 당시 휴대전화 영상 : 아 기울어졌어. 야, 나 좀 살려줘. (기내방송:현재 자리에서 움직이지 마시고….)] br br 가만히 있으라는 야속한 안내방송에 꽃과 같았던 청춘들은 그대로 하늘의 별이 됐습니다. br br 그날 세월호에선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br br 검찰수사와 재판, 청문회가 이어졌지만 명쾌한 결론은 내리지 못했고, 어렵게 삽을 뜬 특별조사위원회도 성과 없이 문을 닫았습니다. br br 가라앉는 배를 보며 발만 동동 구르던 사람들은 노란 촛불을 들고, 하늘로 편지를 썼습니다. br br [장애진 세월호 생존자 (지난해 1월 세월호 천일 추모제) : 받지 않을 걸 알면서도 괜히 전화도 해봅니다. 꿈에 나와 달라고 간절히 빌면서 잠이 들기도 합니다.] br br 지난해 3월, 사고 천73일 만에 세월호 선체가 뭍으로 올라왔고, 미수습자 4명이 돌아왔습니다. br br 5명의 흔적을 여전히 찾고 있는 가운데, 배가 왜 침몰했는지, 승객을 왜 구하지 못한 건지, 실체적 진실을 찾는 움직임도 끈질기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유경근 故 유예은 학생 아버지·4.16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 : 진상 규명 과정을 응원을 많이 해주길 부탁합니다. 그것만 된다면 우리 아이들 계속 우리 마음속에 살아있으니까….] br br 하늘 한 번 쳐다보기 힘든 팍팍한 일상이지만, 잊지 않겠습니다, 짧은 다짐은 그날 스러진 이들에게 우리가 할 수 있...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8

Uploaded: 2018-09-04

Duration: 03: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