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 트럼프 첫 임기 내 비핵화 희망" / YTN

"김정은 위원장, 트럼프 첫 임기 내 비핵화 희망" / YTN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 특사단에 트럼프 미 대통령 첫 임기 내에 비핵화와 북미 관계 개선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br br 또,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미국 측에 전해달라며 메시지 전달도 요청했습니다. br br 청와대 연결합니다. 김도원 기자! br br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목표 시한을 제시했다고요? br br [기자] br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그러니까 오는 2021년 1월까지 비핵화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br br 앞으로 3년 안에 북미 적대관계 청산과 함께 비핵화를 하겠다는 메시지인데요,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그동안 북측에 요구했던 2020년까지로 제시한 비핵화 시간표와 비슷한 계획입니다. br br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는 변함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습니다. br br 김 위원장은 자신의 참모는 물론 누구에게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나쁜 얘기는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는 겁니다. br br 그러면서 국제사회 일각에서 자신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하는 데 답답함을 토로했다고 정 실장은 전했습니다. br br 풍계리 핵실험장의 경우 갱도 3분의 2가 완전히 무너져 영구적으로 쓸 수 없는 상태가 됐고, 북한의 유일한 미사일 엔진 실험장인 동창리 실험장 폐쇄도 의미있는 조치인데 평가가 인색하다는 겁니다. br br 김 위원장은 이런 선제적 조치에 상응하는 조치가 이뤄진다면, 보다 적극적인 비핵화 조치를 계속할 뜻을 밝혔다고 정 실장은 설명했습니다. br br br 김 위원장이 비핵화 의지를 강조했지만, 상응조치가 필요하다는 건 결국 추가로 더 발표할 조치는 없다는 의미 같은데요, 미국과 입장 차이를 좁힐 수 있을까요? br br [기자] br 결국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에 전해달라고 정의용 실장에게 부탁했다는 메시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정 실장은 메시지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는데요, 다만 북측이 비핵화 과정에서 남측의 역할을 좀 더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힌 것으로 보면 미국을 설득해달라는 요청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이와 관련해 이번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협의하기로 한 점이 주목됩니다. br br 김 위원장은 동시행동 원칙이 준수된다면 좀 더 적극적인 비핵화 조치를 취할 용의도 있다고 밝혔는데요, 종전선언이나 제재 완화를 전제로 핵 시설 신고나 핵 활동 동결, 실험장 폐쇄 검증이나 영변 핵시설 사찰 수용 등과 같은 추가 조치를 약속하...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8-09-06

Duration: 05:3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