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공공서비스 일자리 5만 9천 개 만든다 / YTN

취약계층·공공서비스 일자리 5만 9천 개 만든다 / YTN

정부는 고용부문에서 올해 안에 5만 9천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br br 취약계층과 공공서비스 등에 대한 맞춤형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인데, 이전에도 여러 차례 대책이 있었던 만큼 이번에는 효과를 낼지 주목됩니다. br br 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하반기 채용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br br 지난해보다는 사정이 조금 나을 것으로 보이지만 취업은 여전히 바늘구멍입니다. br br [이호선 취업준비생 : 경쟁률도 전보다 많이 오른 것 같고 채용 인원이 많이 늘었지만 지원자 수도 많이 늘어서 취업이 더 힘들어진 것 같다는 느낌이 들고요.] br br 취업자 증가 폭은 8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인 데다, 투자 감소와 글로벌 경기둔화 조짐까지 가세하고 있습니다. br br 이대로 가다가는 고용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정부가 또다시 대책을 내놨습니다. br br 올해 안에 새로 만들겠다는 일자리는 모두 5만9천 개로, 청년의 일 경험 축적 등 공공수요 충족, 행정정보 조사 등 대국민 서비스 제고, 영농개선 등 취약계층 소득지원 부문에서 맞춤형으로 창출한다는 목표입니다. br br 정부는 일자리 예산을 늘릴 수도 있고 집행도 올해 말까지로 국한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br br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 차관 : 필요에 따라서는 예산을 별도로 추가 확보해서 사정에 따라서 일자리가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br br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큰 부문에서는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이 강화됩니다. br br 5인 미만 영세사업자에 대한 일자리 안정자금을 13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늘립니다. br br 일자리 안정자금은 올해 2조 9천억 원이 투입돼 180만 명에 지급됐습니다. br br 청·장년층 실업자 등 3만 5천 명에 직업훈련도 지원합니다. br br 하지만 이번 대책이 단기 일자리에 집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공공기관 채용압박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br br 현 정부 들어 7차례의 일자리 대책과 54조 원 투입에도 불구하고 고용 쇼크가 지속하고 있는 만큼 이번 대책이 얼마나 효과를 낼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박성호[shpark@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6

Uploaded: 2018-10-24

Duration: 02:2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