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제 개편 합의...향후 정국은? / YTN

여야, 선거제 개편 합의...향후 정국은? / YTN

■ 진행 : 이세나 앵커 br ■ 출연 : 배종호 세한대 교수, 서성교 건국대 초빙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청각장애인 자막 방송 속기록을 바탕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YTN 뉴스와이드 이어갑니다. 여야가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던 선거제 개편에 대해서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습니다. 이로써 12월 임시국회의 최대 쟁점에 의견 접근이 이뤄진 겁니다. 그리고 자유한국당은 당협위원장 교체명단을 발표했습니다. br br 배종호 세한대 교수, 서성교 건국대 초빙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분 안녕하십니까? br br [배종호] br 안녕하세요. br br [서성교] br 안녕하세요. br br br 주말인데 국회는 굉장히 바빴습니다. 우선 오늘 여야 5당이 선거제 개혁 관련 합의문을 발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화면으로 함께 보시죠. br br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5당은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합의한다. 1.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br br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비례대표 확대 및 비례·지역구 의석 비율, 의원 정수, 지역구 의원 선출 방식 등에 대하여 정개특위의 합의에 따른다.] br br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 석패율제 등 지역구도 완화를 위한 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한다.] br br br 모두 6개 항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중의 1항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무엇인지부터 짚고 넘어가야 될 것 같아요. br br [배종호] br 연동형 비례대표제도 여러 가지가 있어요. 100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있는가 하면 또 권역별 연동형 비례대표제도 있는데 쉽게 우리가 100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가지고 말씀을 드리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득포율과 의석수가 그대로 일치하는 것입니다. br br 그러니까 민심이 그대로 의석수에 일치되는 거죠. 예를 들면 지금 현재 국회의원 의석수가 300명이니까 정당 득표를 10를 했다 그러면 300석의 10는 30석 아니겠습니까? 30석을 그대로 가져가는 거예요. br br 그런데 예를 들면 지역구에서는 10명밖에 당선이 안 됐다. 그러면 비례대표에서 20석을 채워주는 거예요. 이렇게 해서 정당득표율 그대로 의석수를 채워주는 것이, 일치시켜주는 것이 이제 100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3

Uploaded: 2018-12-15

Duration: 23:1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