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997명 ‘이름·주소’ 해킹…북한 소행 추정

탈북민 997명 ‘이름·주소’ 해킹…북한 소행 추정

ppbr br 북한이탈주민이 하나원을 수료한 뒤 정착을 위해 각종 지원을 받는 하나센터입니다. br br이곳에서 해킹으로 탈북민 997명의 자료가 유출됐습니다. br br최근 이렇게 탈북민을 표적으로 한 해킹이 늘고 있는데요. br br실제로 수년 사이 남북하나 재단에 대한 해킹 시도와 사이버 공격 무려 3546건이나 됐습니다. br br누구의 소행이고, 무엇을 노렸던 걸까요? br br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brbr[리포트]br지역의 탈북민 정착을 돕는 경상북도 하나센터가 해킹된 건 11월 초. brbr센터 대표 주소로 설문조사 요청 e-메일이 왔고 직원이 첨부된 한글파일을 열어본 순간 악성코드가 실행돼 해킹됐습니다. br br컴퓨터에 있던 자료가 다 유출됐는데 여기엔 직원이 따로 관리하던 탈북민 개인정보도 포함돼 있습니다.br br997명의 탈북민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가 해커 손에 넘어간 겁니다. br br그런데 해킹 사실을 알아차린 건 한 달이 훨씬 지난 뒤입니다. brbr통일부 관계자는 "사이버 대응 기관이 해킹 정황을 파악해 지난 19일 현장 조사를 했고 악성코드 감염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br br이후 전국 25곳 하나센터를 긴급 점검했지만 다른 해킹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 br[임종완 경찰청 테러수사팀장] br"동일한 유형의 메일이 발견된 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경북하나센터가) 타깃이 됐다고 볼 수 있겠죠." br br누가 해킹했고 목적이 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북한 소행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br br이번 사고로 허술한 탈북민 개인정보 관리도 드러났습니다. brbr법령에 따라 문서 파일마다 암호를 설정하고, 인터넷과 분리된 컴퓨터에 자료를 저장해야 하는데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박민우입니다. br brminwoo@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597

Uploaded: 2018-12-28

Duration: 01:5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