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선전 한글학교...재도약 꿈꾼다 / YTN

위기의 선전 한글학교...재도약 꿈꾼다 / YTN

중국 동포 자녀들에게 우리말을 잊지 않게 해준 선전 한글학교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br br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10년 전에 비해 학생 수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는데요, br br 이러다 한글학교가 없어지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박준 리포터가 전합니다. br br [기자] br 일곱 살 어느 주말, 엄마 손을 잡고 간 한글학교. br br 어느덧 어엿한 열일곱 살이 돼 학교를 떠나는 날입니다. br br 더 큰 세상으로 한걸음 내딛는 이 순간이 졸업생들에게는 아쉬움 반, 설렘 반입니다. br br [송지민 15세·선전 한글학교 학생 : 영광의 졸업을 맞이한 선배님들을 축하합니다. 10년이란 긴 시간 동안 주말마다 묵묵히 나와서 공부하는 선배님들이 자랑스럽습니다.] br br [백승혁 17세·선전 한글학교 졸업생 :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졸업까지 할 수 있어서 기쁘고요. 한국인으로서 한글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에 계속 다녔습니다.] br br 지난 1996년 문을 연 선전 한글학교. br br 토요일마다 중국 사립학교 건물을 빌려 동포 학생들에게 우리말과 문화를 가르쳤습니다. br br 10년 전까지만 해도 학생 수가 900여 명으로 한글학교로는 세계적인 규모였습니다. br br 지금은 학생 수가 100여 명에 불과합니다. br br [윤수희 선전 한글학교 학부모 : 예전에는 세계에서 가장 한국 학생이 많은 학교라고 했는데 지금은 100여 명밖에 없습니다. 좀 더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곳이 빨리 생겨서 저희 친구들이 안정적으로 다 같이 함께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br br 선전 한글학교는 중국 경제 발전으로 임대료가 올라가면서 규모를 점점 줄여야 했습니다. br br 특히 사드 갈등이 불거진 2년 전부터는 장소를 빌리기도 어려워졌습니다. br br 지금은 어렵게 구한 학원 건물에서 수업을 이어가는 상황입니다. br br [인터뷰: 김 세 현 14세·선전 한글학교 학생] br br "한글학교가 학교에서 학원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운동장도 없어졌고 공간이 살짝 작아졌습니다. 친구들과 다시 운동장에서 뛰어놀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br br 이러다 한글학교가 없어지는 건 아닐까, 우려와 걱정 속에서도 동포들은 해외에서 한글 교육만큼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합니다. br br [정우영 선전 한글학교 교장 :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한글교육과 역사교육은 기본이자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2019년 3·1절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임시정...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25

Uploaded: 2019-01-19

Duration: 03: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