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남성 육아휴직 만7천 명...대기업 편중 여전 / YTN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 만7천 명...대기업 편중 여전 / YTN

남성 육아 휴직자가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만7천여 명을 넘었습니다. br br 하지만 대기업 편중은 여전해 중소기업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김장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정부의 임금 지원과 홍보 등으로 인식이 바뀌면서 육아를 위해 휴직하는 남성 직장인이 늘고 있습니다. br br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민간 부문의 남성 육아 휴직자는 만7천6백여 명으로 2017년보다 5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br br 남성 육아 휴직자 비율은 2017년 10를 넘어섰고, 지난해 18에 육박했습니다. br br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두 번째 사용한 사람의 육아휴직 3개월 급여를 지원하는 '아빠육아휴직보너스제' 사용도 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남성 육아 휴직자 중 59가 300인 이상 기업에 다니고 있어 여전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남성 육아휴직 활용이 쉬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김상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지난해 12월 7일) : 남성 육아 휴직 못 가는 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소득 보전이 도저히 안 되기 때문에 그거 가지고는 살 수가 없어서 못 가시고 갔다 와서 불이익당할까 봐 그렇습니다.] br br 정부는 이에 따라 지난 1월부터 육아휴직 첫 3개월 이후 9개월간 지원하는 임금 상한액을 100만 원에서 12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br br 또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를 사용하는 두 번째 육아 휴직자의 첫 3개월 급여 상한액을 월 200만 원에서 250만 원으로 인상하는 등 육아 휴직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br br YTN 김장하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19-01-23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