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인공강우 실험...의미와 한계는? / YTN

첫 인공강우 실험...의미와 한계는? / YTN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사상 첫 인공강우 실험이 진행됐지만 큰 효과를 기대하긴 힘들어 보입니다. br br 인공강우란 무엇이고, 부작용과 한계는 무엇인지 정혜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인공 강우란 말 그대로 비를 인공적으로 내리게 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br br 우선 비의 재료인 수증기로 된 구름이 필요합니다. br br 이 구름 속에 요오드화 은이나 드라이 아이스를 뿌리면 수증기가 달라붙어 무거워지면서 결국 비로 내릴 수 있게 만드는 겁니다. br br 우리나라는 1995년 인공 강우 연구에 착수했지만 가뭄 대비가 목적이었습니다 br br 성공률은 40대, 늘어난 비의 양도 1mm 안팎에 불과했습니다. br br 비의 양을 늘리는 기술도 완성되지 않았는데 특히 미세먼지를 씻어내기란 더 어렵습니다 br br 적어도 시간당 10mm 이상의 비가 2시간 이상 내려야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br br 특히 고농도 미세먼지는 맑고 건조한 날에 주로 발생하는데 이런 날은 인공강우를 실시할 수 없는 날이 많다는 점도 한계입니다. br br [우정헌 건국대 융합인재학부 교수 : 듣기에는 매력적으로 보이고 과학적으로도 한번 해 볼 수 있는 실험적으로는 그럴 수 있지만 이게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솔루션으로써 이게 직접 활용되기는 굉장히 어렵다고 생각이 됩니다.] br br 다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br br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 꽤 오랫동안 써 온 물질이거든요, 요오드화 은은. 그런데 만일 문제가 있었다면 (문제가 제기 됐겠지만) 한두 나라도 아니고 상당히 많이 쓰고 있는데 실제로 부작용 같은 건 많이 보고되진 않았거든요. 그래서 큰 문제는 없을 거라고 봐요.] br br 전문가들은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저감의 확실한 대책이 될 수는 없다고 지적합니다 br br 다만 최악의 미세먼지를 줄일 현실적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가뭄과 미세먼지에 복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 옵션으로 인공강우를 바라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정혜윤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0

Uploaded: 2019-01-26

Duration: 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