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타결...양보로 사회적 대타협 이룬다 / YTN

'광주형 일자리' 타결...양보로 사회적 대타협 이룬다 / YTN

적정한 수준의 임금을 보장해 일자리를 늘리는,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타결됐습니다. br br 양보를 통한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을 보인 첫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br br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듣겠습니다. 김범환 기자! br br 지난해 말에 타결 직전까지 갔던 사업인데요. br br 결국, 산고 끝에 옥동자를 낳았군요? br br [기자] br 그렇습니다. 오후에 광주광역시청에서 투자 협약식이 진행됐습니다. br br 광주시와 현대차가 최종 합의안에 서명한 건데요. br br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시동을 건 지 4년 반, 현대차가 투자 의향서를 낸 지 7달 만입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도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br br 광주형 일자리가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경제 민주주의의 불씨를 살렸다고 평가했습니다. br br 또 산업구조가 빨리 변화하는 가운데, 노사가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모범사례라고 말했습니다. br br 이용섭 광주시장도 노동자에게는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고 투자자에게는 적정 수익을 보장해 노동이 존중받고, 기업이 수익을 얻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br 지난해 말, 현대차와 지역 노동계 간에 협상이 결렬된 게 '독소조항'이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는데요. br br 견해 차이가 좁혀졌나 보군요? br br [기자] br 지난해 12월 협의 과정에서 한 가지 조항을 두고 현대차와 노동계가 견해차를 보였습니다. br br '신설 법인 상생 협의회 결정 사항의 유효기간을 누적생산목표 35만 대 달성 때까지로 한다'는 조항이었습니다. br br 현대차는 조기 경영 안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이 조항이 꼭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br br 반면 노동계는 이 조항이 회사가 임단협을 일정 기간 안 할 수 있는 빌미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br br 결국, 이 조항은 지난해 12월 협상이 깨진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br br 광주시와 현대차는 추가 조항을 넣는 것으로 합의를 이뤄냈습니다. br br 이른바 '독소 조항'은 그대로 두면서도 "가시적 경영성과가 생기는 등 중대한 사정 변경이 있으면, 유효기간 도래 전이라도 노사민정협의회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는 조항을 추가한 겁니다. br br br 그런데 그동안 현대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를 반대해왔죠. br br 반발이 만만치 않겠는데요? br br [기자] br 그렇습니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노동계 대표로 참석한 쪽은 한국노총입...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2

Uploaded: 2019-01-31

Duration: 03: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