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위기론...중·저예산 영화 선방 / YTN

한국영화 위기론...중·저예산 영화 선방 / YTN

지난해 100억 이상의 제작비를 쏟아부은 한국 영화 대작은 대체로 부진했지만 중급 규모 영화나 저예산 영화가 나름 선전했습니다. br br 대형 투자배급사들은 올해 규모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br br 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순 제작비 65억 원 수준의 중급 규모 코미디 영화 '극한직업'. br br 올해 첫 천만 영화에 등극한 데 이어 역대 흥행 영화 2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br br 흥행 요인으론 그동안의 관행에서 벗어나 가벼운 웃음을 선사했다는 점이 꼽힙니다. br br 실제로 지난해 묵직한 주제로 관객을 찾은 한국 상업영화 대작은 대부분 실패를 맛봤습니다. br br 총제작비 100억 원 이상이 투입된 영화 중 흥행에 성공한 건 단 2편뿐이었습니다. br br 대작 영화가 실패한 건 관습적인 코드를 나열하면서 관객에게 피로감을 줬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br br [윤성은 영화평론가 : (100억대 대작들의 경우) 꽉 짜인 플롯을 가지고 영화가 시작됐다기보다는 스타 캐스팅이나 스타 감독이나 또 이전까지 흥행했던 영화들의 공식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많은 작품들이었죠.] br br 성수기를 노린 일률적인 배급 전략 또한 문제로 지적됩니다. br br 반면 '완벽한 타인' 같은 중·저예산 규모의 영화는 비수기인 10월에 개봉하고도 기대 이상으로 선전하며 존재감을 높였습니다. br br 실제로 순제작비 30억에서 50억 규모의 영화 12편 중 5편이 손익분기점을 넘긴 데 이어, 50억에서 80억 미만 구간에서도 절반 정도가 흥행에 성공하며 전체 수익률 하락을 완화했습니다. br br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형 투자배급사들도 올해는 규모보다는 내실을 다지려는 추세입니다. br br [정민아 영화평론가·성결대 교수 : 그동안 고예산 영화 중심으로 제작했던 이런 관행에서 벗어나 중예산이나 저예산 영화도 배려하면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짜야 하지 않나, 그런 시기가 왔지 않나 싶습니다.] br br 대작 영화의 연이은 부진으로 '위기론'까지 불거졌던 한국 영화계가 올해 새로운 전략으로 재도약하는 전기를 마련할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최두희[dh0226@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7

Uploaded: 2019-02-22

Duration: 02: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