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법·규정 "보다 강력한 저감조치 필요" / YTN

느슨한 법·규정 "보다 강력한 저감조치 필요" / YTN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현장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법과 규정이 너무 느슨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br br 이상곤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잿빛 장막에 휩싸인 듯 건물의 윤곽만 희미하게 보입니다. br br 조금 가까이 가보니 굴뚝에서 하얀 연기가 쉴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br br 당진 화력발전소입니다. br br 겉보기엔 평소와 다름없지만 전체 발전량의 15을 줄이고 있습니다. br br 미세먼지 저감조치의 하나입니다. br br 비상저감조치로 가동 제한에 들어간 발전설비는 이곳을 포함해 모두 16기입니다. br br 정부가 예상한 초 미세먼지 감축량은 하루 3톤 정도. br br 하지만 주민에게 와 닿는 효과는 크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br br [임종만 인근 주민 : 발전소가 가까워서 그런지 더 심한 것 같아요. 제일 피로한 것이 눈. 깜빡거려 보면 눈이 빡빡하고 뭐가 닿는 것 같고 예감이 이상해요.] br br 이런 조치조차 이뤄지지 않는 곳도 많습니다. br br 대기업 공장과 하청 업체들이 밀집한 청주산업단지. br br 이곳에서 미세먼지를 의무적으로 줄여야 하는 회사는 한 곳도 없습니다. br br 특별법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br br 충북 지역 사업장 3천6백여 곳 가운데 의무 사업장은 시멘트 회사 등 5곳뿐입니다. br br 대기업이 자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인다고 해도 40곳을 넘지 않습니다. br br 환경단체는 특별법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때에만 초점이 맞춰진 게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br br [윤민효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활동가 : 미세먼지는 고농도 시에 저감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상황에서 저감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는 사업장 배출 허용 기준을 더 강화해야겠죠.] br br 특별법으로 비상저감조치가 강화됐다고 하지만, 좀 더 강력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미세먼지 대란은 쉽게 사라지기 어려워 보입니다. br br YTN 이상곤[sklee1@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9-03-04

Duration: 01:5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