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강경 대응 자제...폼페이오 "협상 지속 기대" / YTN

美, 강경 대응 자제...폼페이오 "협상 지속 기대" / YTN

비핵화 협상을 중단할 수도 있다는 북한의 경고장에 미국은 자극적인 대응을 자제하며 대화를 이어가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견지했습니다. br br 또 핵미사일 시험 중단은 김정은 위원장의 약속임을 강조하며 도발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br br 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비핵화 협상 중단 가능성을 경고한 북한의 초강수에 미국의 반응은 차분했습니다. br br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협상을 지속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로 응수했습니다. br br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 : 최선희 부상은 확실히 협상의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대화를 계속하겠다는 것이 트럼프 정부의 바람입니다.] br br 핵미사일 시험 중단을 재고할 수 있다는 엄포에도 김정은 위원장의 약속임을 환기했습니다. br br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 :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 중단을) 말했습니다. 그것은 그의 약속입니다. 김 위원장이 약속을 지킬 것으로 확실히 기대합니다.] br br 미국의 태도가 '강도 같다'는 비난에는 그런 표현은 처음이 아니라며 의연히 맞받아쳤습니다. br br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하노이 회담 결렬의 책임자로 지목한 데 대해서만은 폼페이오 장관은 물론 볼턴 국가보좌관도 반박했습니다. br br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그 주장은 부정확합니다. 의사 결정자는 대통령입니다.] br br '강경파' 볼턴 보좌관은 다만 한국 측과도 이 문제를 협의했다며 더 이상의 반응은 자제했습니다. br br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한국의 카운터파트와 북한과 우리의 반응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대응하기 전에 미 정부 내에서 더 많은 협의를 하고 싶습니다.] br br 미국은 그러나 북한이 하노이에서 내민 비핵화와 상응 조치 제안은 수용할 수 없는 수준이었고 유엔 제재의 목적은 완전한 비핵화라고 강조했습니다. br br 북한이 진전된 비핵화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후속 협상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며 대화의 판을 깨지 않겠다는 대응으로 풀이됩니다. br br 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2

Uploaded: 2019-03-15

Duration: 01:5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