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韓 등 이란 원유 수입금지 예외 중단...최대 압박 가속화 / YTN

美, 韓 등 이란 원유 수입금지 예외 중단...최대 압박 가속화 / YTN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를 포함해 8개국에 내렸던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예외 조치를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을 가속화하고 있는 건데, 국제 유가는 크게 상승했습니다. br br 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미 백악관과 국무부가 이란산 원유 수입금지 예외조치의 중단 방침을 일제히 공식 발표했습니다. br br 한중일 등 8개국에 180일간 한시적으로 허용했던 제재 면제를 더 이상 연장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br br 이란 정권의 제1 수입원인 원유 수출을 전면 차단하려는 목적입니다. br br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 : 미국은 더 이상 어떤 예외 조치도 승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란 원유수출을) 전 세계에서 제로 (0)로 만들 겁니다.] br br 폼페이오 장관은 이란의 원유 수출 수익이 제재 전, 연 5백억 달러, 57조 원에 달했으며 테러단체 지원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돼왔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이란 정권이 이 같은 행동을 바꿀 때까지 최대 압박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 : 대 이란 압박의 목적은 (핵무기 개발과 테러 지원 중단) 요구를 이행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란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때까지 압박을 가속화 할 겁니다.] br br 미국의 이번 결정으로 5월 2일 0시부터 이란산 원유 수출은 사실상 봉쇄됩니다. br br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석유 수출국기구, OPEC 회원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보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br br 하지만 국제유가는 3 안팎 급등으로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충격을 나타냈습니다. br br 우리 정부가 예외 조치 연장을 협의해온 가운데 국내 업계에도 파장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br br 트럼프 정부는 이란 핵 협정에서 탈퇴한 뒤 제재를 전면 복원하고 이란 혁명수비대를 테러 조직으로 지정하는 등 압박에 박차를 가해왔습니다. br br 미국의 전방위 대 이란 제재 강화는 교착 상태인 비핵화 협상에서 북한이 양보하고 나오지 않으면 제재로 더욱 옥죌 수 있다는 메시지로도 읽힙니다. br br 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19-04-22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