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인터뷰] 성분 바뀐 '인보사' 논란 확산...문제점은? / YTN

[더뉴스-더인터뷰] 성분 바뀐 '인보사' 논란 확산...문제점은? / YTN

■ 진행 : 박상연 앵커 br ■ 출연 : 김병수 성공회대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코오롱 측이 한국 최초의 유전자 치료제인 인보사의 주성분이 바뀐 사실을 2년 전에 알고도 은폐했다는 의혹이 나오며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인보사를 허가해 준 식약처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검찰이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br br 인보사 사태를 둘러싼 의혹과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김병수 성공회대 교수 전화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br br [인터뷰] br 안녕하세요. br br br 인보사 의혹과 관련해서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수사를 통해서 꼭 밝혀내야 할 대상은 뭐라고 보십니까? br br [인터뷰] br 지금 인보사 사태 때문에 여러 가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제가 볼 때는 한 3가지 정도는 우선 밝혀져야 된다고 봅니다. br br 우선은 정부의 승인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이것하고 식약처의 어떤 책임과 관련된 문제고요. br br 두 번째는 회사가 언제 세포가 바뀐 것을 알았는지 이런 부분도 확인을 해야 될 것 같고요. br br 사실은 더 근본적으로는 처음부터 형질전환연골세포가 과연 있었는지 이런 것들이 규명돼야 할 것이라고 보입니다. br br br 하나씩 짚어보기로 하고요. 먼저 관절염 치료제를 만들면서 연골세포를 썼다고 했는데 알고 보니 신장세포였다, 이런 건데 신장세포는 왜 안 되는 건가요? br br [인터뷰] br 신장세포이기 때문에 안 되는 그런 건 없고요. 이 사건에서는 GP2 293이라는 신장세포가 실험 과정에 중간에 쓰였던 세포고요. br br 이게 쉽게 말하면 생명과학실험실에서 쓰이는 일종의 재료세포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br br 그러니까 이 세포를 가지고 이런 저런 실험을 할 수 있는 실험재료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이게 최종 제품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거고요. br br 그래서 이게 의학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렇다기보다는 이게 원래 연구용으로 쓰이는 세포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사람한테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가 없습니다. br br 그럴 거면 처음부터 293세포를 가지고 허가를 받아야겠죠. br br br 그러면 만약에 애초에 신장세포라고 말을 하고 치료제를 만들었으면 문제가 없었던 건가요? br br [인터뷰] br 그러면 아마 허가가 통과되기가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1

Uploaded: 2019-05-15

Duration: 09:3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