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교란 논란 '대서양 연어'...해상 양식 가능할까 / YTN

생태계 교란 논란 '대서양 연어'...해상 양식 가능할까 / YTN

부드러운 횟감으로 인기 많은 연어는 현재 북유럽과 남미에서 모두 수입하고 있는데요. br br 우리도 양식 기술이 있지만, 대량 생산은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br 해양 생태계 파괴 논란 때문입니다. br br 지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 br [기자] br 연구용 수조 안에 연어가 가득합니다. br br 전 세계 양식 연어의 80를 차지하는 '대서양 연어'입니다. br br 우리가 가장 많이 먹는 연어인데, 연구를 시작한 지 4년 만에 아시아에서 처음 양식에 성공했고, 특허까지 냈습니다. br br 몸길이 80㎝, 무게만 6㎏에 달하는 어미 대서양 연어입니다. br br 1년 10개월 만에 어미로 키웠고, 생존율은 98에 달합니다. br br 동해안 깊고 찬물을 이용해 적합한 수온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br br [최성균 한해성 수산자원센터 소장 : 차가운 해양 심층수를 활용해서 연어 생존율을 높였습니다. 민물에서 바닷물로 순치시키는 과정에 성공해서…] br br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전환하면 대량 생산도 가능합니다. br br 하지만 현재 동해에서 대서양 연어를 키우는 건 불법입니다. br br 연구용이 아니라면 산란 가능한 알을 수입할 수도 없습니다. br br 3년 전 환경부가 대서양 연어를 '위해 우려종'으로 지정했기 때문입니다. br br 강한 공격성을 가지고 있고, 양식장을 빠져나갔을 때 교잡이나 전염병 등으로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게 지정 이유였습니다. br br 한해 4천억 원, 수입 대체 효과를 노리고 연구했던 강원도나 양식 업계는 반발하고 있습니다. br br 양식이 아니면 자체 생존이 불가능하고 다른 어종과의 교잡이나 질병 전파 가능성도 확인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br br [김성욱 연어 양식 업체 관계자 : 국내에서 가장 소비가 많이 되는 연어의 한 종류인데 정부 규제가 있다 보니까 저희 민간 어가에서 양식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고요.] br br 해양 생태계 피해 가능성을 놓고 여러 해 동안 논쟁이 이어졌지만 결론은 나지 않고 있습니다. br br 그 사이 양식 기술을 모두 확보한 '대서양 연어'는 여전히 연구용 수조를 떠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br YTN 지환[haji@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9

Uploaded: 2019-05-19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