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 성장률 2.4%...취업자 20만 명 증가" / YTN

KDI "올 성장률 2.4%...취업자 20만 명 증가" / YTN

국제통화기금 IMF는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유지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에 이어 국책연구기관인 KDI마저 2.4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br br 세계 경제가 빠르게 둔화하고 수출이 하락한 게 가장 큰 원인입니다. br br 반면, 취업자 증가는 일자리 정책의 효과로 20만 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br br 오인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이번 달 들어 20일 동안 수출이 10 이상 줄면서 6개월 연속 뒷걸음질 칠 것으로 우려됩니다. br br 반도체 부진과 중국 수출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br br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수출과 내수가 모두 위축되면서 경기가 부진하다고 진단했습니다. br br 그러면서,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이 2.4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br br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 입니다. br br 반도체 호황이 조정 국면에 들어가면서 수출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설비투자와 건설투자의 감소세가 지속하고, 민간 소비의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다는 게 KDI의 판단입니다. br br 2.4 성장 전망에는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 추경 효과도 포함됐습니다. br br [김현욱 KDI 경제전망실장 : 세계 경제 상황이 빠르게 둔화하면서 수출 부문에서 성장 기여도가 상당히 낮아진 그런 모습에 큰 요인이 있다고 봅니다. 경기가 수출에 많이 좌우됩니다. 수출이 하락하면 내수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br br 반면, 올 취업자 증가 폭은 20만 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br br 정부의 목표인 15만 명보다 5만 명이 더 많습니다. br br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영향이 예상보다 아주 크지는 않은 데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도 효과를 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br br 실업률은 하반기에 다소 낮아지면서 지난해보다 약간 높은 3.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r br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세 둔화와 교역조건 악화로 흑자 폭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br br KDI는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수요 회복이 우리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br br 또 경기 하방 위험으로 최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을, 개선 요인으로는 기초연금과 근로장려세제 등 사회안전망 강화를 통한 민간 소비 확대를 꼽았습니다. br br YTN 오인석[insukoh@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31

Uploaded: 2019-05-22

Duration: 02:4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