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구두 장인들의 눈물..."기형적 유통구조 문제" / YTN

성수동 구두 장인들의 눈물..."기형적 유통구조 문제" / YTN

한때 한국 구두산업의 메카로 불렸던 서울 성수동의 구두 장인들이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br br 하청에 하청을 주는 구조 속에 유통 대기업이 많은 이윤을 가져가면서 점점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는데요, br br 덕분에 구두 한 켤레에 7천 원인 공임은 10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습니다. br br 나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서울 성수동의 한 제화 공장. br br 쉴 새 없는 재봉틀 소리에 귀가 먹먹해지고, 독한 접착제 냄새가 코를 찌릅니다. br br [하창근 제화공 : (소음이 심해) 주위에서 말하는 게 잘 안 들리고 그럽니다.] br br 다치고 아픈 곳도 많지만, 산재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아 달리 하소연할 방법이 없습니다. br br 사실상 하청업체에 소속된 직원이지만, 법적으로는 제화공 한 명 한 명이 이른바 '소사장'이라 불리는 개인사업자이기 때문입니다. br br 구두 1켤레당 버는 돈은 7천 원 남짓. br br 하루 15시간 넘게 일해도 남는 돈은 많지 않습니다. br br 하지만 특수고용노동자인 이들에겐 퇴직금도, 4대 보험도 남의 얘기입니다. br br 엄연히 '노동자'였던 제화공들이 허울뿐인 '사장님'이 된 건 외환위기 이후였습니다. br br 생존 위기에 몰린 하청업체들이 비용을 줄이려 계약 조건을 바꾸라고 압박한 겁니다. br br [김광수 제화공 : 업체 사장들이 그걸 만든 거예요. '소사장제'라고 세금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우리가 사장이 되겠어요. 될 수가 없죠.] br br 이런 일터마저도 하루아침에 없어지기도 합니다. br br 지난 4월 개인사업자인 제화공에도 퇴직금을 줘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오자 하청업체가 아예 공장 문을 닫아버린 겁니다. br br 여성 구두로 유명한 원청업체는 자신과는 관계없는 일이라며 발을 뺐습니다. br br [미소페 관계자 : (원청과) 무관한 정도가 아니라 (하청)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게 미소페하고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br br 기형적인 유통 구조는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br br 백화점과 홈쇼핑 등 유통 대기업이 가져가는 수수료는 최고 40로, 다른 상품과 비교하면 10포인트 정도 높습니다. br br 30만 원짜리 구두 한 켤레를 만들면, 12만 원을 떼 가는 겁니다. br br 여기에 원청과 하청업체의 이윤까지 빼야 하니 직접 구두를 만드는 제화공의 공임은 10년째 늘 그대로였습니다. br br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팀장 : 유통수수료를 잡화 평균 수준으로 2~3만 낮춰도 최소한 공임을 만원...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19-06-09

Duration: 03:0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