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정규직화 갈등…“나아진 게 없다” vs “사실상 정규직”

무리한 정규직화 갈등…“나아진 게 없다” vs “사실상 정규직”

ppbr br 급식 조리원과 돌봄전담사들은 거리로 나왔습니다. brbr무기계약직인 자신들은 무늬만 정규직이라며,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br br김단비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현장음] br"비정규직 철폐 투쟁, 결사 투쟁" br br학교에서 급식과 돌봄 교실을 담당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2만 2천 명이 일손을 놓고 거리로 나왔습니다. brbr이들은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돼 고용은 보장됐지만, 임금이나 처우는 나아진 게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br br[이지순 학비노조 서울지부 부지부장] br"급여는 164만 원 정도 되거든요. 최저임금보다 저희 급여가 낮죠. 공무원 임금의 80 정도 맞춰줘야… " br br학부모들은 열악한 처우 개선에 공감하면서도, 해마다 되풀이되는 파업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br br[초등생 학부모] br"따뜻한 밥 먹이는 게 좋지, 소풍도 아니고…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뭐하러 그런 사람들 쓰나요." br br파업에 반대하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등장했습니다. br br무기계약직은 사실상 정년이 보장되는 정규직과 다를 바가 없는데, 약속한 고용 조건 이상으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br br현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 이후 고용 형태와 처우를 둘러싼 갈등은 학교 비정규직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요금 수납원과 br국립대병원 비정규직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단비 입니다. brbrkubee08@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8

Uploaded: 2019-07-03

Duration: 01:3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