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사 36만 명 휴대전화 사용…‘도박’ 등 부작용 나타나

병사 36만 명 휴대전화 사용…‘도박’ 등 부작용 나타나

ppbr br 군부대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 br br국방부가 직접 운영 결과를 내놓았는데요. br br소통여건이 개선됐다고 했는데, 부작용에는 어떤 대안이 있을까요? br br최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brbr[리포트]br현재 훈련병을 제외한 36만여 명의 병사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brbr국방부는 시범 운영 결과 병사 대부분이 휴대전화를 SNS나 전화·문자로 사용해 외부와 소통이 강화됐다고 평가했습니다.br br또 병사 체력도 2018년과 비슷했고 오히려 '특급'은 1.3가 늘어나는 등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체력 저하는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이런 긍정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방부는 정식 시행 시점에 대해서는 확답을 못 하고 있습니다. br br시범 시행 이후 불과 석 달 만에 육군 병사 10여 명이 5억 원대 '모바일 도박'을 하다 적발됐습니다. br br또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IS를 추종하며 관련 앱을 깔고 폭파물을 훔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br br[최현수 국방부 대변인] br"보안 앱 부분이 완전히 처리가 되면 그것을 기준으로 해서 전면시행으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br br하지만 보안 앱은 카메라 기능만 제한하는 것으로 유해 사이트 접속은 병사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습니다. br br[손영동 한양대 융합국방학과 교수] br"지금의 지침은 (병사) 믿는 거잖아요? 안 지키면 어떡해요. 보안 앱도 없이 이걸 쓴다는 게 (사실상) 무조건 다 허용하는 거거든요." br br육군은 도박, 음란, 보안위반을 유해한 세 가지 독으로 규정하고 정신 교육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br br캠페인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책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 br br최선 기자 beste@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4

Uploaded: 2019-07-16

Duration: 01:4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