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안' 발표에 온도 차 극명...갈등 불씨 여전 / YTN

'상생안' 발표에 온도 차 극명...갈등 불씨 여전 / YTN

정부의 상생안 발표 이후 택시와 모빌리티 업계는 즉각 입장을 내놨습니다. br br 대부분의 요구가 반영된 택시 업계는 환영했지만, 모빌리티 업계는 여러 제약에 대해 강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br br 이경국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택시와 모빌리티 업계의 갈등은 지난해 카카오 카풀 서비스를 두고 본격화됐습니다. br br 어렵게 대타협 기구가 합의안을 내놨지만, 차량 공유서비스 '타다'를 두고 다시 갈등이 이어졌습니다. br br [김희철 서울개인택시조합 대의원(지난달) : 신산업이라는 과대 포장으로 수수료를 따먹는 단순한 차량 대여서비스에 불과합니다.] br br 업계와 정부의 고된 논의 끝에 나온 상생안. br br 요구 내용 대부분이 받아들여진 택시업계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br br 특히 혁신업체들과의 상생 구조를 만들고, 낡은 규제를 없애려 했다는 점에 의미를 뒀습니다. br br [국철희 서울개인택시조합 이사장 : 혁신업체들이 택시와 같이하는 구조를 설계하고 논의를 진행하겠단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br br 나아가 택시 업계의 단점을 보완해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r br [구수영 전국민주택시노조 위원장 : 기존 택시 모델 가지고는 생존할 수 없다는 걸 이미 느끼고 있습니다. 플랫폼 산업의 장점과 구태의연한 기존택시 사업의 단점 보완해서….] br br 반면 모빌리티 업계는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br br '카카오 T' 같은 가맹 서비스의 경우, 규제 완화로 사업 활성화를 기대하게 됐지만, '타다'를 포함한 운송 서비스 업체들은 택시면허 확보 등 수많은 규제를 떠안게 됐습니다. br br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 새로운 면허가 만들어지지 않거나 수량이 충분하지 않아 사업을 못 하는 경우, 혁신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거죠. 상생방안 자체가 무력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 이용자들은 경쟁 체제를 통해 택시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불친절과 승차 거부 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했습니다. br br [이세창 부산 연제구 : 다른 업체들도 같이 택시 운영하게 되면 친절 부분이나 이런 부분이 개선되지 않을까 싶어서….] br br 해묵은 갈등의 급한 불은 껐지만, 상생안을 둘러싼 업계의 온도 차이는 여전히 갈등의 불씨로 남았습니다. br br YTN 이경국[leekk0428@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19-07-17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