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전망 2.5→2.2% 하향...日 수출규제도 영향 / YTN

올해 성장률 전망 2.5→2.2% 하향...日 수출규제도 영향 / YTN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대폭 낮췄습니다. br br 수출과 투자 부진에 일본과의 갈등 영향까지 일부 반영되면서, 조정 폭이 예상보다 컸습니다. br br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하향 조정은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였습니다. br br 하지만 조정 폭은 예상보다 더 컸습니다. br br 0.1∼0.2포인트를 낮출 것이란 전망이 많았지만, 한국은행은 0.3포인트나 낮춘 2.2를 올해 성장률로 제시했습니다. br br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br br [정규일 한국은행 부총재보 :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글로벌 교역과 성장세 둔화,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등 대외 여건 변화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br br 이론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대치를 말하는 잠재성장률도 2.5∼2.6로 낮춰 잡았습니다. br br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라는 표현도 의결문에서 사라졌습니다. br br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수출 부진입니다. br br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영향으로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줄었고, 반도체값 하락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특히 최근 일본과의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수출 전망이 어두운 게 사실입니다. br br 여기에 민간소비는 물론이고, 설비와 건설 투자 부진 역시 좀처럼 개선될 조짐이 없는 상태입니다. br br 올해 성장률 전망치에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악영향과 추가경정예산안의 긍정적인 효과도 일부 반영됐습니다. br br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일본과의) 무역 갈등이 정치적 요인으로 인해서 더 심화하거나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진 점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이 이번에 제시한 경제성장률 전망치 역시도 달성하지 못하거나 더더욱 낮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br br 한국은행은 미·중 무역 분쟁이 더 심화하고, 일본의 수출 규제마저 길어진다면,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보고,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6에서 2.5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br br YTN 백종규[jongkyu87@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19-07-18

Duration: 02:2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