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수산식품도 수출규제 되나?...관련 업계 전전긍긍 / YTN

한국 농수산식품도 수출규제 되나?...관련 업계 전전긍긍 / YTN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파프리카와 김 등 일본으로의 수출이 많은 농수산식품까지 타격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천상규 기자! br br 우리나라 농식품과 수산식품의 최대 수출 시장이 일본인데, 상반기에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얼마나 됩니까? br br [기자] br 상반기에 일본에 대한 농식품 수출액은 6억9천만 달러, 수산식품 수출액은 3억6천만 달러 등 모두 10억5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br br 하지만 일본 정부가 최근 반도체 소재에 이어 농식품과 수산식품에 대해서도 추가 규제 품목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하반기에는 상반기와 같은 수출물량이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br br 이 때문에 해당 농수산 식품을 수출해온 농가와 어민들은 하반기에 일본으로의 판로가 막히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br br 아직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한국산 수산식품에 대한 수입 규제를 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 일본에 대한 수산식품 수출량은 3억6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줄었습니다. br br 이 기간 우리나라의 수산물 총수출액은 12억8천만 달러로 7.3 증가한 것에 비하면 1위 수출 대상국인 일본에 대한 수출은 크게 감소한 것입니다. br br 또 상반기 일본에 대한 농식품 수출액도 6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7나 줄었습니다. br br 중국, 미국, 베트남 등에 대한 수출은 5 이상 늘어난 것에 비하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입니다. br br 이는 일본 정부가 한국의 농수산식품에 대해 규제품목으로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수입조건을 한 층 더 강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br br 특히 지난해 일본에 대한 수출 비중이 99에 달한 파프리카 재배 농민들은 일본의 수입 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피해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또 대표적인 일본 수출 수산물인 김도 올해 일본의 김 흉년으로 상반기 수출이 호조를 보였으나 하반기 수출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br br 지난해 우리나라의 김 전체 수출액 5억2천500만 달러 가운데 20가 넘는 1억 천800만 달러가 일본으로의 수출이었습니다. br br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일본에 집중된 농식품 수출 시장을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신북방 지역으로 다변화해 농어민들의 피해를 줄여나갈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br br YTN 천상규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33

Uploaded: 2019-07-21

Duration: 02:3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