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와이] "일본 불매 운동 우리가 더 손해"...사실일까? / YTN

[팩트와이] "일본 불매 운동 우리가 더 손해"...사실일까? / YTN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확산하면서 일본과 관련한 국내 기업들도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br br 불매 운동이 오히려 우리에게 더 손해라는 주장까지 나오는데요. br br 어디까지 사실인지 팩트체크했습니다. br br 이정미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br [이언주 무소속 의원(페이스북·유튜브 '이언주TV') : 불매 운동한다고 난리법석인데 불매 운동이라는 게, 기가 차서…. 상당 부분 소재가 일제입니다. 우리가 훨씬 손해예요.] br br ▲ 불매운동 우리가 훨씬 손해? br br 유니클로는 지난해 직원 5천 명에게 인건비만 1,500억 원 넘게 지급했습니다. br br 일자리 감소로 우리가 손해라는 우려가 나올 만도 합니다. br br 하지만 의류와 신발 등을 파는 도소매업 종사자 전체로 보면 유니클로의 비중은 2. br br 여기엔 이직이 빈번한 아르바이트생도 상당수입니다. br br [원종문 남서울대 국제유통학과 교수 : 패션 의류 제품들이 불매 운동한다고 해서 전체 총합이 줄어드는 게 아니에요. 매출이 넘어가는 것뿐이죠. 유니클로에서 근로 시간이 줄어든다고 해도 또 000(다른 기업)에서 근로자 근로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겠죠.] br br ▲ 사드 불매 때 중국이 피해? br br 사드 사태 때 중국의 불매 운동으로 롯데쇼핑이 철수하면서 중국인이 일자리를 잃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당시 롯데쇼핑은 중국 유통업체인 리췬그룹에 점포 대다수를 매각했습니다. br br 기업이 바뀌었을 뿐 일자리 총량에 큰 변화는 없었던 겁니다. br br 오히려 매출 감소로 피해를 본 건 롯데쇼핑이었습니다. br br ▲ 일본 지분 있지만, 한국 기업? br br 한국인이 설립했고, 매출 70가 국내 중소기업 제품이라는 다이소. br br 그럼에도 3는 일본 제품이고, 지분 34를 소유한 일본 기업에 배당금이 넘어갔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br br '아이깨끗해'를 생산하는 라이온코리아와 식품업체 가루비, 속옷업체 와코루 역시 100 국내 생산이라지만 기업 가치가 올라가면 일본 주주도 이익을 보는 구조입니다. br br 기업의 국적을 단정 짓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br br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 서로가 얽혀있기 때문에 칼로 무 자르듯이 어느 쪽만 피해를 보는 건 제한적이에요. 객관적인 정보는 주되 판단은 각자가 해야 할 문제라고 저는 봅니다.] br br 두 나라 모두 피해를 보지만 누가 더 손해인지 분석하긴 어려운 현실. br br 일본이 치킨게임을 시작한 상황에서 불매 운동의 의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40

Uploaded: 2019-08-05

Duration: 02:4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