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DNA, 다른 혈액형의 미스테리..."혹시 공범이?" / YTN

같은 DNA, 다른 혈액형의 미스테리..."혹시 공범이?" / YTN

DNA 검사로 30년 만에 드러난 화성 연쇄살인사건 용의자 이춘재의 혈액형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br br 그동안 경찰은 B형으로 추정했는데 이 씨의 혈액형이 O형으로 확인됐기 때문이죠. br br 1990년 당시 혈액형 검사 결과가 잘못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지만, 공범 가능성도 의심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br br 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경찰은 지금까지 화성 9차 사건의 경우 범인의 혈액형을 B형이라고 추정해 왔습니다. br br 그러나 이번에 용의자로 지목된 이춘재의 혈액형은 O형. br br 처제 살인 사건 판결문에 적시된 내용입니다. br br 때문에 30년 전 혈액형 검사가 잘못됐던 게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습니다. br br 동일인을 가려내는 정확도로 보면 혈액형은 DNA에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떨어지지 때문입니다. br br 두 사람의 혈액형이 같을 가능성이 4분의 1 정도라면, DNA가 같을 가능성은 약 3경 분의 1. br br 77억 인구의 지구 같은 별이 3백50만 개 있다면 그 중 한 건 나올만한 확률이라, 사실상 '제로'로 봐도 될만한 수치입니다. br br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혈액형 검사가 틀렸다고 보는 건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br br [이숭덕 서울의대 법의학교실 교수 : (유전자 검사와 혈액형 검사는) 사람을 얼마나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느냐 라는 차원에서는 많이 다르지만, 각각 제각기 의미 있는 검사로 인정을 받은 이상에는 그 결과를 함부로 버릴 순 없고요. 버리는 건 적절하지 않습니다.] br br DNA 검사만 믿고 혈액형 검사 결과를 그냥 부인한다면 지금까지 혈액형을 증거로 해서 판결이 난 여러 형사 사건들마저 과학적 정당성을 잃을 수 있다는 겁니다. br br 때문에 혈액형이 달라진 이유를 밝혀야 하는데, 가장 합리적인 접근 방법은 공범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입니다. br br [이숭덕 서울의대 법의학교실 교수 : 만약 혈액형 검사 결과도 맞고 유전자 검사 결과도 맞다고 하면 제일 먼저 의심해 봐야 하는 것은 한 사람이 아니지 않을까 하는 것이지요. 두 사람의 서로 다른 유전자형이 있을 가능성을 먼저 생각해 봐야지요.] br br 이 교수는 또 유전자 검사 결과는 동일인 여부를 증명할 수는 있지만, 범행 자체를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면서 경찰은 단순히 '혈액형 검사가 틀렸다'가 아니라, 왜 다른가를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br br YTN 기정훈 [prodi@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370

Uploaded: 2019-09-20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