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요구에 무거운 책임감...공수처법 이견 있지만 대안 없다" / YTN

"공정 요구에 무거운 책임감...공수처법 이견 있지만 대안 없다" / YTN

문재인 대통령은 공정에 대한 국민의 높은 요구에 책임감을 느낀다며 강한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 공수처 설치를 비롯한 검찰개혁에 대해서는 야당에 대안이 있느냐고 물으면서 조속한 입법을 촉구했습니다. br br 김영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문재인 대통령은 합법적인 불공정과 특권도 바꾸라는 게 국민의 요구라며 무거운 책임감을 갖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조국 전 장관이나 서초동·광화문 집회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두 달 넘게 이어진 논란이 조 전 장관 사퇴로 일단락된 상황에서 공정의 가치를 다시 내세운 겁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사회지도층일수록 더 높은 공정성을 발휘하라는 것이었습니다.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겠습니다.] br br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국민과 경제 다음으로 공정을 많이 언급했습니다. br br 27번이나 등장했는데 10번 언급한 지난해와 비교하면 '공정'에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도 가능합니다. br br 문 대통령은 각 분야에서 강력한 개혁을 추진하겠다면서 '공정사회를 향한 반부패 정책협의회'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br br 특히 가장 아픈 교육에서의 불공정은 정시 비중 확대를 포함한 입시 제도 개편을 통해 해소하겠다고 답했습니다. br br 연설 후반 문 대통령은 3분 가까운 시간을 배정하며 공수처법과 수사권 조정 법안 처리를 요청했습니다. br br 야당의 반대를 의식한 듯 공수처법이 통과되면 현 정부 고위공직자부터 수사 대상이 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공수처의 필요성에 대해 이견도 있지만, 검찰 내부의 비리에 대해 지난날처럼 검찰이 스스로 엄정한 문책을 하지 않을 경우 우리에게 어떤 대안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br br 문 대통령은 탄력근로제 보완 입법과 데이터 3법, 소재·부품·장비 특별법 등 민생 법안 처리를 국회에 요청하면서 꼬인 국정의 실타래를 풀기 위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재가동과 여야 대표 회동 활성화도 제안했습니다. br br 시정 연설에서마다 문 대통령이 큰 비중을 뒀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관련해서는 지금이 항구적 평화로 가는 마지막 고비라면서 평화경제의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히고 묵묵부답인 북한의 응답을 촉구했습니다. br br YTN 김영수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


User: YTN news

Views: 14

Uploaded: 2019-10-22

Duration: 02:3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