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폭락 광어 ‘폐기처분’…소비자는 “비싸요”

가격 폭락 광어 ‘폐기처분’…소비자는 “비싸요”

ppbr br 국민 횟감, 광어의 산지 가격이 2년 새 반토막 났습니다. br br그런데, 정작 소비자들은 가격 폭락을 체감하지 못합니다. br br왜 그런지 홍유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brbr[리포트]br싱싱하게 진열대 위에 놓여 있는 국민 횟감, 광어. br br최근 일본의 검역 강화로 수출이 줄었는데, 생산량은 늘면서 산지 가격이 폭락했습니다. brbr"이런 광어의 지난달 출하 가격이 1kg에 8400원 정도인데요. br br2년 전과 비교하면 사실상 반값이 된 겁니다." br br국내 광어 양식장이 밀집한 제주도는 연내 광어 200톤을 사들여 폐기처분하겠다는 계획까지 내놨습니다. br br하지만 상인들은 가격 폭락을 체감하지 못합니다. br br[이윤광 노량진 수산시장 상인] br"요즘에 조금씩 올라가는 추세입니다. 물값에, 물차에, 인건비에, 한 개 두 개 건너서 오니까 여기선 조금 더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br br특히 횟집에서 파는 광어 가격은 요지부동입니다. br br[A 횟집 직원] br"몇 년 전이나 (지금이나) 조금씩 오르는 편이지 내려가진 않아요." br br[B 횟집 직원] br"(산지가 하락 영향이) 여기에선 없어요. 일식집 같은 경우도 손님 오시면 똑같은 가격으로 말하잖아요." br br여전히 소비자에게 광어는 저렴한 먹거리가 아닙니다. br br[황인식 서울 양천구] br"(광어가) 싸진 않죠. (산지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싸게 바뀌거나 이런건 못 봤어요." br br복잡한 유통구조 때문에 산지가격이 소비자 가격으론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br br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 brbryur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19-11-05

Duration: 01:3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