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원 팔면 최고 39원 가져가"…여전한 유통사 수수료

"100원 팔면 최고 39원 가져가"…여전한 유통사 수수료

"100원 팔면 최고 39원 가져가"…여전한 유통사 수수료br br [앵커]br br 기업들은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해 백화점이나 마트, 홈쇼핑 같은 곳을 통하게 마련이죠.br br 문제는 이 때 내는 수수료인데요.br br 조금 나아졌다지만 물건값의 최고 40 가까이를 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br br 또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더 많은 부담을 지고 있었습니다.br br 김지수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백화점 의류매장에 여러 매장들이 입점해 있습니다.br br 브랜드와 상품을 노출 시키기 위한 건데, 높은 수수료를 감안하면 꼭 수지가 맞는 것은 아닙니다.br br 공정거래위원회가 36개 각종 대형 유통업체를 조사해보니, 판매액 중 납품업체 부담 총액의 비율, 즉 실질 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TV홈쇼핑으로, 29.6에 달했습니다.br br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20 안팎이었는데, 이것도 지난해보다 2포인트 이상 낮아진 겁니다.br br 업체 중에선 NS홈쇼핑이 39.1%로 1위였습니다.br br 100원 어치 팔면 39.1원을 납품업체가 수수료 등으로 내고 나머지만 갖는 겁니다.br br CJ홈쇼핑이 36로 뒤를 이었습니다.br br 유통사들은 또 협상력이 강한 대기업보다 물건을 알리는게 급한 '을'의 위치인 중소, 중견기업에 더 높은 수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br br "실질 수수료율은 납품업체가 중소·중견기업인 경우에 대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TV 홈쇼핑의 경우에 대·중소기업간 실질수수료율 격차가 13.8포인트 정도로 나타났습니다."br br 홈쇼핑 정도는 아니지만 2포인트 차이나는 백화점은 물론, 대형마트, 온라인몰도 마찬가지였습니다.br br 다만, 편의점 거의 전부와 70 이상의 대형마트들은 유통업체가 안팔린 상품들에 대한 비용 부담을 지고 있었습니다.br br 공정위는 대형 유통사들의 '갑질' 예방 차원에서 납품업체가 무는 수수료 등 각종 부담 비용을 계속 공개할 방침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19-12-19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