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대구·경북 '특별재난지역' 선포…신규 확진 두 자릿수로

[뉴스특보] 대구·경북 '특별재난지역' 선포…신규 확진 두 자릿수로

[뉴스특보] 대구·경북 '특별재난지역' 선포…신규 확진 두 자릿수로br br br 문재인 대통령이 대구·경북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br br 정세균 총리도 미증유의 상황이라며 경제적 여파 최소화를 강조했습니다.br br 한편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3주 만에 두 자릿수로 둔화돼 의미 있는 변곡점을 만들고 있습니다.br br 신상엽 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br br 어서오세요.br br 대구·경북 지역이 오늘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습니다.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으로 인한 첫 선포 사례인데요. 특별재난지역이 되면 의료시설이나 방역 부문에서 달라지는 점이 있을까요?br br 지역 확산 규모가 가장 컸던 대구시의 증가세는 큰 폭으로 꺾였습니다. 대구시는 앞으로 2주간 시민 협조를 당부하면서 추가 확진자 수를 한자리 수로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방역과 어떤 차별성을 둬야 할까요?br br 서울 구로 콜센터는 직원의 가족들로도 감염이 확산돼 9명이 늘어 총 124명이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음성 판정을 받은 직원 중 양성으로 바뀌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서 무증상 감염에 대한 대처가 필요해 보입니다. 접촉자에 의한 추가 확산을 어떻게 차단할 수 있을까요?br br 서울 도봉구에서는 산후조리원 요리사 직원이 확진됐지만 다행히 산모와 신생아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감염 경로가 밝혀졌는데요. 동대문 동안교회와 PC방에서 감염된 가족에 의해 전파됐습니다. 감염 집단이 서로 연결돼 있는 경우 예방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가 있을까요?br br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에서 확진자 1명이 추가돼 총 27명이 됐습니다. 나머지 해수부 직원은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는데요. 감염경로는 아직 미궁인 가운데 누가 지표환자인지를 밝히는 게 중요해 보이는데 역학조사를 어떻게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증상 발현 하루 전까지 동선을 다 따져봐야 하나요?br br 집단감염 환자 비중이 2주 전에는 60대였다가 지난주엔 70, 지금은 80 수준으로 높아졌습니다. 집단감염 위험성이 더 커진 걸로 보이는데요.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0-03-15

Duration: 12:0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