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 또 외환위기?…“한미 통화스와프 되살리자”

‘환율 급등’ 또 외환위기?…“한미 통화스와프 되살리자”

ppbr br 불안한 투자자들의 돈은 달러로 쏠리고 있습니다. br br이 때문에 오늘 원달러 환율은 11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는데요. br br아직 IMF 때처럼 외화보유고를 걱정할 수준은 아니지만, br br전 세계가 달러 확보 전쟁에 돌입한 이상, 한미 통화스와프 부활과 같은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br br홍유라 기자입니다. brbr[리포트]br개장과 동시에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외환 딜러들의 움직임이 바빠집니다. br br[현장음]br"2원 더입니다." br br환율은 장중 한 때 1296원까지 치솟으며 1300원 선을 위협하더니, 1285.7원으로 마감했습니다. brbr어제보다 무려 40원 오른건데, br br환율 종가가 1280원 선을 넘긴 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남은 2009년 7월 이후 11년만입니다.br br[권아민 NH 투자증권 책임연구원] br"금이나 미국채, 엔화 같은 안전자산까지 팔면서 달러를 마련하려는 수요로, 안전자산 선호 중에서도 극단적인 안전자산 선호다." brbr정부는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달러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br br제2의 외환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 br br외환당국은 현재 외환보유고가 4091억 7천만 달러로 안정적인 수준이라는 입장입니다. br br하지만 외환건전성이 급변할 수 있는 만큼 지난 2010년 종료된 한미 통화스와프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br br[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지난 16일)] br"외환건전성이 좀 낮아질 경우에 통화스와프, 특히 기축통화국인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는 상당히 훌륭한 안전판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brbr전문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경험했던 1500, 1600원선 진입 가능성은 아직 낮지만 적극적인 외환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br br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 bryura@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5

Uploaded: 2020-03-19

Duration: 02:0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