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헌법에 5·18 담아야...발포 책임자 규명 필요" / YTN

문 대통령 "헌법에 5·18 담아야...발포 책임자 규명 필요" / YTN

문재인 대통령이 광주 민주화 운동 40주년을 맞아 인터뷰를 통해 자신에게 5·18이 어떤 의미인지 이야기했습니다. br br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는 소신을 거듭 강조하고, 발포 책임자 등 진실 규명이 필요하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br br 5·18 민주화운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에 대해서도 말했는데, 누구인지 함께 들어보시죠. br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1980년 5월 15일, br br 서울역 앞에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를 벌이던 대학생들이 해산을 선택한 이른바 '서울역 회군'. br br 문재인 대통령도 당시 경희대 복학생 대표로 참여했습니다. br br 이틀 뒤 구속된 복학생 문재인은 계엄군이 광주 시민들에게 총을 쏘아 많은 이들이 숨졌다는 소식을 경찰서 유치장에서 들었습니다. br br 광주 시민들만 희생됐다는 부채의식이 민주화 운동의 원동력이 됐습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퇴각을 하는 그런 결정을 내린 것 때문에 광주 시민들이 정말 외롭게 계엄군하고 맞서게 된 것이거든요. 그래서 그 사실에 엄청난 죄책감을 느꼈고…] br br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과 6월 항쟁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br br 지금 헌법에는 4·19 혁명만 써 있어, 이후 군사독재에 맞서 이뤄진 민주화 운동을 계승하기 부족하다는 겁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개헌이 좌절되었지만 앞으로 언젠가 또 개헌이 논의가 된다면 헌법 전문에서 그 취지가 반드시 되살아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r br 5·18 폄훼와 왜곡에는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br br 이미 20여 년 전에 법적 평가까지 끝났는데, 일부 정치권에서 논란을 만들어 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br br 문 대통령은 5·18의 상처 치유는 진실 규명이 출발이라며, 5·18 진상조사위원회 활동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문재인 대통령 : 발포의, 말하자면 명령자가 누구였는지, 발포에 대한 법적인 최종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이런 부분들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br br 5·18 하면 누가 생각나느냐는 질문에 문 대통령은 자신과 함께 부산에서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활동을 한 노무현 전 대통령을 꼽았습니다. br br 5·18을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생각하는 문 대통령이 올해 40주년을 맞아 광주 정신 계승을 위해 어떤 과제를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김도원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0

Uploaded: 2020-05-17

Duration: 02:3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