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이 과반'…21대 국회 어떻게 바뀌나

'초선이 과반'…21대 국회 어떻게 바뀌나

'초선이 과반'…21대 국회 어떻게 바뀌나br br [앵커]br br 제21대 국회의원 임기가 오늘(30일)부터 시작됐습니다.br br 정치 신인들이 대거 입성하는 등 국회 구성에 변화가 있었는데요.br br 어떻게 바뀌었는지 최덕재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br br [기자]br br 무엇보다 초선 의원들의 약진이 눈에 띕니다.br br 전체의 절반이 넘는 151명이 금배지를 달았습니다.br br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사태로 초선 의원 187명이 입성한 17대 이후 가장 많습니다.br br 다만 '젊은 정치인의 대거 등판'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습니다.br br 원내 1·2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초선 의원 140명 중 20대는 1명, 30대는 7명, 40대는 26명에 그쳤습니다.br br 50대는 78명, 60대는 28명으로, 50대와 60대가 전체의 약 76를 차지합니다.br br 21대 국회 최연소는 92년생 정의당 류호정 의원이, 최고령 의원은 53년생 미래한국당 서정숙 의원이 차지했습니다.br br 국회가 입법기관이다 보니, 아무래도 법조인 출신이 여의도로 진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br br 이번에도 초선 의원 중 민주당과 통합당을 합쳐 법조인 출신이 22명에 달했습니다.br br 주목할 만한 점은, 민주당이 통합당보다 더 많았다는 것입니다.br br 그동안 법조인들이 국회로 입성하는 경우 진보 정당보다는 보수 정당을 택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br br 하지만 최근 국정농단 사건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논란 등을 거치면서, 친문 세력의 지지를 받은 변호사·판사 등이 대거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됐습니다.br br 변호사 출신 김남국 의원, 판사 출신 이수진 의원, 검사 출신 김회재 의원 등 16명이 당선됐습니다.br br 반면 통합당에서는 검사 출신 김웅 의원 등 6명에 그쳤습니다.br br 21대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질 공수처 설치 문제, 검경수사권 조정 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br br 현역 의원 20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은 '원내 교섭단체'가 돼 국회 원내 협상을 주도하게 됩니다.br br 민주당과 통합당 두 당만 교섭단체로 남았는데, 총선 압승을 거둔 민주당과 쓰라린 패배를 맛본 통합당의 내부 상황은 좀 달랐습니다.br br 민주당은 친문을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는 모습입니다.br br 초선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과 재선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 친문 의원이 20대 국회에 비해 약 20명 정도 늘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br br 여기다 조국 사태를 비판한 금태섭 의원 등 비문 의원들이 자리를 비우게 되면서 친문 결집 현상은 더 뚜렷해질 전망입니다.br br 21대 국회에서 각종 개혁법안 처리에 보다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것으로 전망되는 부분입니다.br br 통합당에서는 '자연스러운 물갈이'가 진행되는 모습입니다.br br 초선이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늘었는데 김무성·이혜훈 등 중진급 비율이 낮아지면서 친박, 비박 등의 계파색이 옅어졌다는 평가입니다.br br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3040을 중심으로 당 해체에 가까운 체질 전환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br br 20대 국회를 지켜본 국민들의 목소리는 "답답하다", "그만 싸우고 일 좀 하라"는 것이었습니다.br br 구성이 확 바뀐 이번 21대 국회.br br 당장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함께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지 기대해봅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7

Uploaded: 2020-05-30

Duration: 03:4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