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순이·미선이 18주기 맞아 추모공원 조성..."추모는 우리 손으로" / YTN

효순이·미선이 18주기 맞아 추모공원 조성..."추모는 우리 손으로" / YTN

지난 2002년, 중학생 신효순·심미선 양이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진 지 18년이 흘렀습니다. br br 사고 18주기에 맞춰, 시민의 손으로 직접 두 소녀를 추모하기 위한 추모 공원이 완공됐습니다. br br 홍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신효순, 심미선 양의 영정 사진이 공원으로 들어옵니다. br br 영정 앞엔 조화를 내려놓는 손길이 이어지고, 18년 전, 애타는 마음을 다시 떠올린 아버지는 목이 메어 말을 잇지 못합니다. br br [신현수 故 신효순 양 아버지 : 다시는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br br 친구 생일잔치에 가다가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진 열네 살 동갑내기 두 소녀를 추모하는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br br 가해자들의 사과를 기다리고, 안타까운 사고를 기억하기 위함입니다. br br 지금까지 행사는 16년 동안 사고 현장인 이 길 위에서 이뤄져 왔는데요. br br 이젠 이 완공된 평화 공원에서 두 소녀를 추모할 수 있게 됐습니다. br br 가해자로 지목된 미군 병사 두 명이 미군 법정에서 무죄 판결을 받자, 촛불을 들고 일제히 항의했던 시민들의 모습은 공원 한쪽 벽화로 남았습니다. br br '불의의 사고'라는 문구가 새겨진 미군 추모비 대신, 시민들이 직접 세운 추모비엔 못다 핀 두 소녀의 꿈을 잇겠다는 다짐이 적혔습니다. br br [박석분 효순미선평화공원 조성위원회 집행위원장 : 정말 순수하게 시민들의 자발적인 성금으로 이뤄졌어요. 여러 번 겹쳐서 해 주신 분들도 계시는데, 줄잡아 한 3천여 명….] br br 정말 비극적인 사고일 뿐인지, 정확한 진상에는 여전히 의문점이 남아 있습니다. br br 우리 땅에서 미군들이 벌인 범죄를 직접 조사하고 재판할 수도 없도록 규정한 한미주둔군지위협정, 소파 조항도 그대로입니다. br br 완공식에 참여한 시민들은 두 소녀를 추모하며 오랜 다짐을 다시 한 번 되새겼습니다. br br "누구나 살아가며 잊지 못할 길이 있듯,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길도 있죠. 덕도리로 넘어가는 56번 국도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길이죠." br br YTN 홍민기[hongmg1227@ytn.co.kr]입니다.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br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1

Uploaded: 2020-06-13

Duration: 02:2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