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결] 박원순 "상황 심각해지면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

[현장연결] 박원순 "상황 심각해지면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

[현장연결] 박원순 "상황 심각해지면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br br 최근 코로나19가 수도권 외 지역으로도 확산하는 모양새를 보이며, 방역당국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br br 서울시도 확산 추세를 지켜보면서, 한층 강화된 예방대책을 고심하고 있는데요.br br 이와 관련해 조금 전 박원순 서울시장 브리핑이 있었습니다.br br 현장 잠시 보시겠습니다.br br [박원순 서울시장]br br 다시 중대한 고비입니다.br br 긴 터널의 끝은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br br 오히려 장기전과 2차 대유행에 나쁜 징조들이 서울과 수도권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습니다.br br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확산과 그 여파로 물류센터 방문판매업체, 종교 소모임 등 수도권 여기저기에서 산발적인 N차 감염이 증가하고 있고 조용한 전파자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br br 수도권에서 튄 불똥이 대전지역 집단감염으로 또한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서울이 뚫리면 대한민국이 뚫립니다.br br 수도권이 뚫리면 지금까지 해 왔던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갑니다.br br 서울시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고 더 큰 위기가 빠르게 찾아오고 있는 것이 아닌지 예의주시하면서 다수의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그동안 2차 대유행 차단과 피해 최소방안을 찾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해 왔습니다.br br 여러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본 결과 서울시는 오늘 이후 서울시에서 3일간 일일 평균 서울시에서 3일간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30명을 넘어서거나 또는 병상 가동률이 70에 도달하는 등 공공의료체계 부담이 될 정도에 이르면 종전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밖에 없음을 말씀드립니다.br br 이처럼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폭발적 전염력을 감안할 때 산발적인 집단감염의 고리를 지금이라도 끊어내지 않으면 2차 대유행은 언제라도 촉발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br br 당초 감염병 전문가들은 그 시기를 올 가을로 예상했지만, 지금의 추세라면 7월로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br br 실제로 최근 국내 데이터를 바탕으로 확산 모델을 적용해서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한 결과는 충격적입니다.br br 감염병 전문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발생 전까지는 한 사람이 전파하는 지수를 뜻하는 감염재생산지수 이른바 R이라고 하죠.br br 이 R지수가 전국 평균 0. 58로 확진자당 2명, 확진자 2명당 1명이 감염되는 수준이었지만 4월 30일부터 6월 11일까지 전국 평균 R값은 1.79로 급격히 증가한 상황입니다.br br 지금은 약간 주춤해졌습니다만 R 값이 열흘 전 수준대로라면 한 달 후 하루 확진자 수가 800여 명에 이를 걸로 예측됐습니다.br br 이대로라면 지금이 2차 대유행 한 달 전이라는 얘기입니다.br br 또한 최근 대중교통 이용 상황과 서울시의 생활인구 데이터 분석 결과는 우리에게 더욱 큰 경각심을 가지게 합니다.br br 출근 시간대 지하철 이용객 수를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봤습니다.br br 확산세가 절정이었던 시기에 잠시 멈춘 시행을 하면서 3월 2일부터였죠.br br 37.5라는 기록적인 감소 폭이 나타났습니다.br br 그만큼 밀접접촉을 우려한 우리 시민들이 대중교통 이용을 자제해 주셨던 것이죠.br br 그러나 6월 들어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8 감소에 그치는 등 대중교통 이용객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br br 이 추세대로라면 7월이 되면 예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될 것이 분명해집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4

Uploaded: 2020-06-22

Duration: 04: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