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해상 삐라 살포 촉각…北 “풍향까지 감시 중”

연평도 해상 삐라 살포 촉각…北 “풍향까지 감시 중”

ppbr br 북한도 앞서 남쪽으로 삐라 1200만 장을 보내겠다고 했었죠. br br그런데 육지가 아닌 연평도 앞바다에서 띄울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br br이곳에서는 굳이 서풍만 불어도 수도권으로 날아가 성공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br br연평도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br br강병규 기자, br br[질문1] 북한이 해상에서 대남전단을 살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요? br br[리포트]br네, 북한이 육지에서 대남전단을 살포하려면 북풍이 불어야 합니다. br br하지만 연평도가 있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은 서울, 인천 등 수도권과 위도상 나란히 있다보니 br서풍만 불어도 남한 내륙으로 전단을 보낼 수 있습니다. br br북풍이 불지 않을 경우 북한 경비정 호위 속에 북한 어선이나 함정이 연평도 쪽 NLL 인근에서 전단을 살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br br현재 북한은 대남 전단 살포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인데요. br br북한 정권의 기관지 민주조선은 북한 기상청이 대남 전단 살포을 위해 지형은 물론 풍향도 감시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br br또 북한 주민들이 기상청에 전화를 걸어 "접경지대 어느 장소가 삐라 살포를 전개하는데 가장 적중한 곳이냐"고 묻는 등 문의가 빗발친다며 선전전을 펴고 있습니다.brbr[질문2] 우리 군의 대비태세는 어떤가요? 북한군의 특별한 움직임은 포착됐습니까?br br네, 군에는 대남전단 살포에 대비해 이미 해상 경계 강화 지시가 내려간 상황입니다. br br다만 NLL 이북에서 전단 살포를 물리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우선 감시 정찰을 강화한 상태입니다. br br오늘도 북한의 해안포문이 열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br br연평도 주민들과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을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br br지금까지 연평도 망향전망대에서 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 br brben@dong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0-06-23

Duration: 02:0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