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규제 1년...기술 국산화로 '탈일본' 성과 / YTN

일본 수출규제 1년...기술 국산화로 '탈일본' 성과 / YTN

일본, 지난해 7월 3개 품목 '수출 규제' 단행 br 日 수출규제 위기를 기회로…'기술 자립' 속도 br 불산액 이어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 국산화 성공br br br 일본이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쓰이는 핵심 소재 3가지의 수출을 규제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br br 우리 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가 컸지만, 오히려 위기를 기회 삼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이면서 자립화를 이루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br br 보도에 이지은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해 7월, 일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에 쓰이는 포토레지스트와 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를 단행했습니다. br br 일본 의존도가 높은 핵심 소재를 노린 보복 조치에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br br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해 7월 1일) :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는 대법원 판결을 이유로 한 경제 보복 조치이며 삼권분립 민주주의 원칙에 비추어 상식에 반하는 조치라는 점에서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 br br 하지만 그로부터 1년, 우려했던 피해는 없었습니다. br br 오히려 개발에 속도가 붙으면서 기술 자립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br br 먼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지난해 코오롱이 양산에 들어갔고, 솔브레인 등 국내 기업들이 액체 불화수소 대규모 생산에 성공한 데 이어 최근에는 SK머티리얼즈가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 생산 소식을 알렸습니다. br br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는 해외 의존도가 100에 달하고 기술 격차가 커 국산화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 품목입니다. br br [박지훈 SK머티리얼즈 홍보팀장 : 좀 더 고부가 상품을 생산하고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고순도 불화수소 개발에 대해서 연구해왔고요. 작년 일본 수출규제가 시점이 되어서 좀 더 가속화되어서 진행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br br 또 반도체 기판 제작에 쓰는 감광액, 포토레지스트는 수입선이 다변화돼 벨기에와 독일 등에서도 들어오고 있습니다. br br 초미세 공정에 사용하는 극자외선용 포토레지스트는 아직 국산화 전이지만 미국 듀폰사 공장을 천안에 유치해 공급망을 확보했습니다. br br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상무 : EUV(극자외선)용 포토레지스트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물질입니다. 개발은 시작했지만 우리가 생산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시간이 좀 필...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8

Uploaded: 2020-06-26

Duration: 03:0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