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도 못 정한 한미 연합훈련...북미대화 변수되나 / YTN

시기도 못 정한 한미 연합훈련...북미대화 변수되나 / YTN

오는 2022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전시작전권 전환을 앞두고 한미 군 당국이 연합훈련을 놓고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북미정상회담 중재 의지를 시사하면서, 한미훈련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오는 8월로 예상되는 한미연합훈련을 앞두고 양측은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br br 조건에 기초한 전시작전권 전환을 앞두고 반드시 거쳐야 할 세 번의 훈련 가운데 두 번째 훈련으로 마지막 훈련은 내년 초 이뤄질 예정입니다. br br 국방부는 이에 앞서 한미 국방장관 화상회담을 지난달 여는 것으로 추진했지만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br br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대령 : 지금 협의 중이기 때문에 추가로 거기에 대해서 별도로 드릴 말씀이 아직은 없습니다.] br br 그런데,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이 지휘소 훈련에 주력하자는 우리와 결이 다른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br br 코로나19로 상반기 연합지휘소훈련을 미룬 만큼 하반기에는 전구급 연합훈련이 연합준비태세에 필수라고 강조한 겁니다. br br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 : 힘들고 실전적인 주야 제병합동훈련은 지상군·포병·항공전력을 통합해 실시하는 것 자체가 전쟁 수행뿐만 아니라 전쟁에서 이기는 준비태세를 유지하는 데 최고의 기준입니다.] br br 에이브럼스 사령관의 이 같은 발언은 실전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br br 전반기 미뤘던 실전훈련이 시행될 경우 최근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한 북한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br br 이 때문에 훈련에 앞서 북한과 협의하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br br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 그 (훈련) 규모에 관계없이 성격에 관계없이 북에서는 상당히 그 것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나올거고 그러니까 그 전에 남북간에 협의가 있어야 될 겁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에 북미 정상회담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며 중재 의지를 밝혔습니다. br br 논의가 구체화 될 경우 북한이 반발해 온 한미연합 훈련이 변수로 등장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특히 이번 훈련이 전시작전권 전환 조건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군 당국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br br YTN 김문경[mkkim@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50

Uploaded: 2020-07-02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